
강인선 대통령실 대변인은 전날 서면브리핑을 통해 “여야 지도부가 논의해 면담을 요청할 경우 (윤 대통령은) 언제든지 응할 용의가 있다”고 했다. 다만 “추경안 국회 통과가 시급한 만큼 우선 추경안부터 서둘러 처리하고 논의가 필요한 사항은 추가로 논의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조건을 달았다.
앞서 윤 위원장은 같은날 오전 “대통령 선거 때 했던 소급적용 약속을 이행할 방안에 대해 여야 영수회담을 열어 논의하자”고 제안했다. 여야는 추경안의 핵심 쟁점인 손실보상 소급적용을 두고 접점을 찾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민주당은 손실보상 소급적용과 형평성 보완 등을 요구하며 정부안인 36조4000억 원(지방교부금 제외)보다 15조 원 많은 51조3100억 원 규모의 추경을 주장하고 있다.
그러면서 “윤 대통령은 국회에 추경 통과를 요청하기 전에 소상공인 공약 파기에 대해 국민 앞에 사과부터 해야 한다”며 “민주당은 윤 대통령과 국민의힘이 파기한 소상공인 손실보상 소급적용 약속을 지키기 위해 소상공인법 개정을 즉시 추진하겠다”고 했다.

윤 정부의 첫 추경안 처리 등을 위해 열기로 합의했던 국회 본회의는 지난 27일 한차례 무산된 데 이어 전날에도 열리지 않았다. 윤 대통령은 여야 합의 도출이 끝내 불발되자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은 숨이 넘어가는데 오늘도 본회의가 열리지 않아 정말 안타깝다”며 “국회가 이렇게까지 협조하지 않을 줄은 몰랐다”고 말했다.
조혜선 동아닷컴 기자 hs87cho@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