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정상회담]실무준비 어떻게 하나?

  • 입력 2000년 4월 10일 19시 44분


코멘트
“이제 정상회담의 대로는 뚫렸으니 승용차를 탈 것인지, 기차를 탈 것인지 등의 절차적 문제만 해결하면 된다.”

한 정부당국자는 남북정상회담 합의 이후 어떤 후속 협상이 필요한지를 묻는 질문에 이렇게 답변했다. 현재 베이징(北京)회담을 통해 남북이 합의한 대목은 ‘6월12∼14일’의 일정과 ‘평양’이라는 장소뿐. 50년간 적대관계를 유지해온 양측 최고지도자들의 만남인 만큼 정상회담 전까지 구체적이고도 세심한 실무합의가 필요한 상태다.

○…남북 양측은 일단 각각의 정부 내 준비팀을 발족시켜 내부의 입장과 원칙을 조율한 뒤 판문점에 개설된 직통전화를 통해 정상회담을 위한 남북 간 준비회담을 제의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3, 4명 정도로 예상되는 준비회담 남측 대표 중 수석은 ‘실무급’으로 한정한 베이징회담의 결과에 따라 양영식(梁榮植)통일부차관이 될 가능성이 높다.

또 준비회담 장소는 판문점 내 남측 평화의 집과 북측 통일각에서 번갈아 열릴 것으로 보이지만 평양이나 서울에서 개최할 가능성도 없지 않은 실정이다.

○…문제는 준비회담에서 풀어야 할 실타래가 한두 가지가 아니라는 점. 우선 남북 간 이견 가능성이 가장 높은 대목은 의제 설정. 북측은 남측의 사회간접자본(SOC)투자와 비료지원 등 ‘선물보따리’에, 남측은 남북이산가족 상봉 등 인도적 차원의 문제 해결에 관심이 많다.

또 평양에서 김대중(金大中)대통령과 김정일(金正日)국방위원장 간에 정상회담을 몇 차례 할 것인지, 평양회담 후 서울에서의 2차 회담이 있을 것인지 등도 논의의 대상이다.

평양방문단의 규모를 결정하는 것도 까다로운 문제. 김대통령을 수행할 △통신팀 △경호팀 △의전팀 △대표단 △기자단의 수를 정해야 하고 김대통령 방북 이전 평양에 도착할 선발대는 몇 명이, 언제, 어느 곳을 통해 방북해야 하는지까지 구체적인 합의에 도달해야 한다. 물론 통신팀 경호팀 등 양측의 전문가끼리 따로 만나는 실무접촉도 벌여야 한다.

○…94년 당시 김영삼(金泳三)대통령과 김일성(金日成)북한주석 간의 정상회담을 위한 준비회담에서는 김영삼대통령이 방북하기 사흘전인 7월22일 선발대 25명을 평양에 보내는 것으로 합의했었다.

김대통령을 비롯한 남측 대표단에 대한 북한측의 신변안전보장각서 제공도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할 대목. 하지만 북측이 94년 신변안전보장각서에 대해 별다른 이의를 달지 않았다는 사실을 감안하면 특별한 걸림돌이 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윤영찬기자>yyc11@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