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처음으로 국내 출생아 수가 30만 명 아래로 떨어졌다. 태어난 아기보다 사망한 사람이 더 많아져 주민등록 인구 역시 처음으로 자연 감소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로 출산율이 급격하게 하락하면서 국내 총인구(내국인+외국인) 감소 시점이 당초 예상(2028년)보다 앞당겨질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인구가 줄어들면 노동력 부족과 소비 감소로 경제가 위축된다. 학교가 문을 닫고, 군인과 의료진 등 사회 필수 인력도 부족해진다. 급속한 고령화로 청년층의 사회적 부양 부담은 치솟는다. 이 모든 문제가 복합적으로 얽혀 사회적 갈등을 빚어낼 것으로 예상된다. 전문가들은 더 늦기 전에 인구 수축사회에 대비해 노동, 복지, 교육 개혁을 서둘러야 한다고 말한다.
한시가 급하다는 전문가들의 경고에 비해 정부의 대응은 더디기만 하다. 정부는 2019년 인구정책 태스크포스(TF)를 꾸리고 여성·고령자의 경제활동 참여 확대, 외국 인력 활용 등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미래세대 부담을 덜어줄 국민연금 개혁도 지지부진하다.
인구학자인 조영태 서울대 교수는 저서 ‘정해진 미래’에서 “미래에 인구가 변수가 아닌 상수가 될 수 있다면 우리나라의 미래가 어둡지만은 않다”고 했다. 이미 출생아 수가 크게 줄어든 가운데 그 흐름이라도 장기간 안정적으로 이어진다면 충분히 대응할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그 전제는 당연히 지금부터 부지런히 수축사회에 적응할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조 교수가 언급한 “작고 안정적인 한국을 준비”할 시간이 많지 않다. 지금 고통을 감내하지 않으면 미래에 더 큰 고통과 마주해야 하는 현실을 직시하고 절실하게 개혁에 나서야 할 때다.
주애진 경제부 기자 jaj@donga.com기자페이지 바로가기>
“국민을 아무리 개돼지로 안들…” 文캠프 출신 변호사 중수청 비판
‘尹 태도’ 지적한 정세균에…김경율 “삼권분립 엿바꿔 드셨나”
윤석열 “중수청 설치, 檢폐지 시도”… 3일 대구 방문해 추가메시지 낼듯
홍준표 “공수처 이어 중수청 설치? 文 수사 두려워서”
윤석열 “검수완박은 부패 판치게 하는 부패완판”
“투기와의 전쟁 文정부…정작 LH는 투기꾼 키웠다” 분노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