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가 무슨 모델이 되겠냐”는 비아냥거림을 들으며 후미진 골목에서 워킹 연습을 했던 한현민 씨(19)는 첫 아프리카계 한국인 모델이 됐다. 내일을 꿈꾸기에는 강퍅한 오늘인데도 100명의 청년들은 꿈을 나침반 삼아 남들이 가지 않는 길을 뚜벅뚜벅 걷고 있었다.
그러나 우리 청년들이 처한 현실은 녹록지 않다. 동아일보가 창간 100주년을 맞아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국민 1001명(18세 이상 남녀)을 설문조사한 결과 우리 사회가 가장 시급히 해소해야 할 문제로 청년 일자리(23.1%)가 첫손에 꼽혔다. 이어 청년 세대의 예상 미래 소득을 물었더니 ‘부모 세대보다 낮아질 것’이라는 응답이 47.7%였다. 청년 세대의 미래를 그만큼 비관적으로 보고 있다는 뜻이다.
이번 여론조사에서 청년들은 새로운 청년 일자리 해법을 요구했다. 청년 일자리 해결을 위해 가장 시급한 대책으로 18∼29세 청년들은 ‘벤처 및 신산업 육성 지원’(29.7%)과 ‘기업 규제 완화를 통한 경제 활성화’(29%)를 꼽았다. 전체 응답자는 ‘기업 규제 완화를 통한 경제 활성화’(37.6%)가 가장 시급하다고 봤다. 정부와 공공기관이 시행 중인 ‘청년 일자리 할당제’가 필요하다는 20대 청년은 8.4%뿐이었다. 청년들은 길은 스스로 찾을 테니 공정한 운동장에서 넘어지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고 달리게 해달라고 호소하고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의 청년은 늘 위기를 기회로 삼아 세계무대로 도약했다. 지금 청년의 도전과 혁신 역시 다음 100년의 대한민국을 만들 것이다. 그러려면 청년들이 기성세대가 우리 사회 곳곳에 쌓은 기득권의 벽 앞에서 좌절하지 않고 마음껏 뛸 수 있어야 한다. 청년 일자리의 해법은 거기서부터 시작돼야 한다.
[김순덕 칼럼]인권침해 낙인찍힌 ‘문재인 보유국’
[오늘과 내일/이진영]김어준 퇴출로 끝낼 일 아니다
文의 ‘검찰 황태자’ 이성윤, 기소 넘어 차기 檢총장 꿈 이룰까
檢, ‘김학의 출금’ 이광철 출석통보…윗선 수사 확대
檢 “‘김학의 출금’ 이성윤 지검장 기소할 것…文대통령 檢총장 후보자 지명 이후”
[단독]삼성家 ‘이건희 컬렉션’ 사회 환원 가닥… “기증규모 1조 이상”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