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일 한겨레에 따르면 무비자 입국이 허용된 지난해 10월부터 이날까지 일본 규슈 벳푸와 홋카이도 삿포로 등에서 히트쇼크로 한국인 3명이 숨졌다.
히트쇼크는 온천 또는 목욕탕을 이용할 때 혈압이 급변하면서 쓰러지는 증상으로, 특히 고령자 및 혈관질환 보유자가 추운 겨울철 입욕할 때는 히트쇼크에 더 주의해야 한다.
젊고 건강한 혈관을 가지고 있을 경우에는 혈압의 상승·하강에 단순히 가벼운 현기증만을 느끼고 넘어갈 수 있지만 고령자와 혈관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에게는 상당히 위험한 상황이다. 혈압이 급하강할 때 실신하거나 급상승할 때 심근경색이나 뇌경색이 일어나 돌연사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일본 각 지역에 있는 주한대사관 홈페이지에도 히트쇼크의 위험성과 예방법을 알리는 안내문이 게재돼있다.
외교부는 히트쇼크의 예방법으로 △ 새벽 이른 시간 노천탕 입욕 자제 △ 입욕 전 몸의 온도를 높이고, 물을 충분히 마시기 △ 입욕 전 가벼운 스트레칭과 따뜻한 물 샤워하기 △ 식사 직후, 음주 시 입욕 금지 △ 고령자와 혈관질환자는 만일의 상황에 대비해 일행과 함께 입욕하기 △ 장시간 입욕, 잦은 입욕 금지 등을 안내하고 있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