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우주산업 어디까지 왔나…최초 위성 우리별1호부터 달탐사 계획까지

  • 뉴스1
  • 입력 2020년 6월 2일 07시 41분


코멘트
2월19일 서울 용산구 서울역에서 시민들이 ‘천리안2B호’ 관련 뉴스를 지켜보고 있다. 2020.2.19 © News1
2월19일 서울 용산구 서울역에서 시민들이 ‘천리안2B호’ 관련 뉴스를 지켜보고 있다. 2020.2.19 © News1
미국의 민간 우주탐사업체 ‘스페이스X’가 쏘아올린 유인 우주선 ‘크루 드래곤’이 현지시간으로 31일 오전 10시16분 목적지인 국제우주정거장(ISS)에 도착해 도킹(결합)에까지 성공하면서 완전한 ‘뉴 스페이스(New Space)’ 시대가 열렸다.

군사적 목적이나 국가 위상 제고에 집중한 정부 주도의 우주 프로젝트 시대인 ‘올드 스페이스(Old Space)’ 시대를 지나 민간자본의 활발한 투자가 진행될 우주경제의 문이 활짝 열린 것이다.

1일 현재 전 세계가 인류 최초의 민간 유인 우주선 시대가 열린 데에 주목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 또한 새로운 시대의 전개에 관심을 집중하고 있다.

특히 ‘스페이스X’사의 도전과 성공에 찬사를 보내는 동시에 한국의 우주산업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정부 주도로 진행…우주인도 탄생시켰지만 갈길 멀어

결론적으로 미국, 중국, 러시아, 일본, 프랑스와 같은 강대국에 비하면 우리나라의 우주산업은 아직 갈 길이 멀다.

지난 2019년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이 내놓은 ‘뉴스페이스 시대, 국내우주산업 현황 진단과 정책대응’ 자료(안형준·박현준·이혁·오승환·김은정)를 살펴보면 뉴 스페이스를 논하기 이전 국내 우주산업 규모 자체가 절대적으로 작고 산업 생태계 또한 미성숙하다는 점이 지적된다.

이에 따르면 국내 우주산업은 2017년을 기준으로 3조3393억원으로, 같은 해 전 세계 우주시장 규모인 2685억 달러의 약 1.1% 수준으로 파악됐다.

기업 환경 또한 스타트업이 자리잡기 쉽지 않은 상황 등 파격적 규제혁신, 도전정신이 필요한 우주개발 사업과는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온다.

우리나라의 우주산업은 이같은 이유로 아직까지 정부 주도로 진행되는 경향이 크다. 정부 주도 우주개발은 공공적 성격을 띠고 그에 맞게 진행돼 왔다.

1990년도부터 시작된 우리나라의 우주개발은 대한민국 소유 최초 위성인 우리별 1호가 1992년 남미 쿠루기지에서 발사된 것을 시작으로, 1995년에는 실용적인 통신방송위성의 필요성에 따라 무궁화 1호가, 96년에는 무궁화 2호, 99년에는 무궁화 3호가 각각 발사됐다.

2000년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당시 과학기술부)가 러시아와 공동으로 우주여행자양성계획(한국 우주인 배출 사업·KAP)을 수립해 2006년 고산·이소연씨를 우주인 후보로 선출했고 이중 이씨가 한국인 최초 우주인으로 발탁됐다. 한국은 이로써 36번째로 우주인을 배출한 국가가 됐다.

올해 2월에는 우리 독자기술로 개발된 환경 및 해양관측 정지궤도위성 천리안 2B호가 남미 프랑스령 기아나우주센터에서 성공적으로 발사됐고 목표 정지궤도에도 안착해 정상가동되고 있다. 세계에서 환경 감시를 위한 정지궤도위성을 운용하는 사례는 천리안 2B호가 최초다.

우주산업 주무부처인 과기정통부는 올해 3월 제33회 우주개발진흥실무위원회를 개최하고 전년대비 6.4% 증가한 6158억원 규모의 우주기술 개발 계획을 확정하기도 했다. 계획 중 역시 눈에 띄는 부분은 우주탐사 부문이다.

정부는 ‘스페이스X’사에서 개발한 발사체 ‘팔콘9’을 활용한 달 궤도선을 2022년 7월 발사할 계획이며 2030년으로 예정한 달 착륙선 개발을 위해 이에 필요한 핵심기술 개발에도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우주탐사는 달을 비롯한 태양계 천체를 탐사하는 활동을 뜻한다. 통상 탐사대상 천체의 궤도에 진입해 표면과 대기를 분석하는 원격탐사와 탐사대상에 직접 착륙해 연구하는 탐사로 구분돼 있다.

◇민간 우주개발 역량 키우기 시도…“역할 재정립돼야”

그렇다고 우리나라도 정부 주도의 우주개발에만 집중해왔던 것은 아니다. 과기정통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등은 국제적 추세에 발맞춰 민간의 우주개발 역량을 강화하려는 시도를 해왔다.

다만 현 상황으로 봤을땐 스페이스X와 같은 기업체가 나오기까진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의 우주기술 개발 계획에는 민간 우주기업의 수출판로 개척을 위해 우주개발 개발도상국으로의 수출을 지원한다는 계획 정도가 포함돼 있다. 여기에 우주분야에 대한 창업도 적극 촉진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관련 올해 1월 발간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의 ‘우주탐사’ 자료(문태석·이재민·문홍규)에서는 “대내외 환경을 고려할 때 우리나라도 달 탐사 사업의 성공적인 추진과 함께 우주탐사의 목표를 설정하고 이와 더불어 국내 민간 참여 방안에 대해 지속적인 논의가 필요한 시점에 도달했다”고 제언하기도 했다.

그간 우주탐사에 산업체가 산학연 컨소시엄의 일부로 참여하던 것에서, 이제는 정부의 정책적 지원을 바탕으로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방향으로 분위기가 전환됐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우주탐사 개발을 주도하고 있는 국외 주요 민간기업은 행성 탐사기술 뿐만 아닌, 탐사선 운송을 위한 발사체 시장에서도 주도적으로 역할했으며 2017년 기준 민간기업이 발사한 우주발사체의 수는 총 41회로, 미국과 유럽(ESA)이 주였다고 밝혔다.

특히 ‘스페이스X’사는 전 세계 상업 목적의 우주발사체 발사 중 43.9%의 발사 점유율을 갖고 우주발사체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우리도 위성체나 발사체 제작, 지상장비 개발 분야 등은 기업이 다수 참여하고 있지만 우주탐사나 과학연구는 다른 분야에 비해 민간보다 대학 중심의 연구개발이 추진되고 있다”고도 지적했다.

이어 “출연연구소와 민간기업이 가진 장점을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플레이어가 참여한 우주탐사가 추진돼야 한다”며 “우주를 민간의 활발한 경제적 활동이 가능한 영역으로 인식하고 정부·출연연·민간 간의 역할 분담 재정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