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금융권 가계대출 4.3조 증가
금융당국 “서울 규제완화 지역 주시”
‘토지거래허가 해제’ 위험요인 지적
연초 감소세를 보이던 금융권 가계대출이 신학기 이사 수요, 금리 인하 등으로 인해 지난달 4조 원 넘게 다시 늘었다. 특히 주택담보대출은 한 달 전보다 5조 원 증가했다. 금융당국은 “부동산 규제가 완화된 서울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국지적인 주택가격 상승 우려가 제기돼 면밀히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며 서울시의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를 위험 요인으로 지적했다.
12일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2025년 2월 중 가계대출 동향’에 따르면 전체 금융권 가계대출은 2월 전달보다 총 4조3000억 원 증가했다. 1월 가계대출이 10개월 만에 9000억 원이 줄며 감소세를 보였지만 한 달 만에 증가세로 돌아선 것이다.
금융당국은 “금융권이 연초 새로운 경영목표하에서 가계대출 취급을 본격적으로 재개하고 신학기 이사 수요 등이 겹치며 다소 큰 폭으로 증가했다”며 “다만 주택도시기금 재원의 디딤돌·버팀목 상환이 확대되고 신학기 수요 해소 등으로 3월 들어 주담대 실행이 감소하는 추세를 감안할 때 충분히 관리 가능한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평가했다. 금융당국은 올해 가계부채 증가율을 경상성장률(실질성장률+물가상승률·3.8%) 이내로 관리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단순 계산하면 1년에 70조 원 규모로 아직까지는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고 말했다.
가계대출 중에서도 주담대가 대출 증가세를 견인했다. 2월 중 주담대는 5조 원 증가해 전월(3조2000억 원) 대비 증가 폭이 확대됐다. 은행권과 제2금융권 주담대는 전월 대비 각각 3조5000억 원, 1조5000억 원 늘어났다. 은행권 주담대의 경우 전월 증가 폭(1조7000억 원)의 2배 이상 늘어난 수치다.
이는 은행권의 실수요자 중심 대출 규제가 올해부터 완화되고 은행권 대출금리도 하락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또 최근 서울시의 토지거래허가제 규제 완화 이후 늘어난 부동산 거래 수요도 일부 반영됐을 것으로 금융당국은 분석했다.
금융당국은 최근 서울시의 토지거래허가구역 대거 해제와 관련해 “부동산 규제가 완화된 서울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국지적인 주택가격 상승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며 “가계부채 관리기조를 일관되게 유지하면서 관계 부처 간 긴밀한 공조 아래 지역별 주택시장 상황과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한 가계대출 추이를 면밀히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일각에서는 가계대출 증가세가 완전히 사그라지지 않았는데, 토지거래허가제 규제 완화가 이뤄지고 대출금리 인하 압박까지 이어져 대출 증가세가 살아났다는 비판이 새어나온다.
전 금융권 기타 대출은 6000억 원 감소했으며 감소 폭은 전월(―4조1000억 원)에 비해 줄었다. 1월에 상여금 지급 등으로 전월 대비 1조5000억 원 감소했던 신용대출이 2월엔 전월 대비 1000억 원 증가했기 때문이다.
업권별로 보면 은행권 가계대출은 전월 대비 3조3000억 원 증가했다. 정책성 대출은 전월 대비 2조9000억 원 증가했으며 은행 자체 주담대는 6000억 원 늘며 증가세로 전환했다. 제2금융권 가계대출은 1조 원 증가하며 전월 감소세(―5000억 원)에서 증가세로 전환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