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가 할퀸 도심 상권…명동 소규모 상가 공실률 43% ‘역대 최고’

  • 동아일보
  • 입력 2021년 7월 28일 17시 09분


코멘트
지난달 8일 서울 중구 명동거리 상가의 모습. 동아일보 DB
지난달 8일 서울 중구 명동거리 상가의 모습. 동아일보 DB
서울 핵심 상권인 명동에서 1, 2층짜리 건물 내 상가 10곳 중 4곳 가량은 비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외국인 관광객 발길이 끊기면서 폐업한 가게가 급증했기 때문이다.

28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올해 2분기(4~6월) 상업용부동산 임대동향조사’에 따르면 명동의 소규모 상가 공실률은 43.3%로 1분기(38.3%)보다 5%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관련 통계를 집계한 2017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소규모 상가는 2층 이하면서 연 면적이 330㎡(100평) 이하인 건물을 가리킨다.

실제 외국인 관광객 의존도가 높은 명동은 코로나19 피해가 가장 큰 상권으로 꼽혔다. 명동에서도 가장 번화한 ‘명동거리’에도 현재 영업 중인 가게를 거의 찾기 어려울 정도다.

명동에서 빈 상가가 늘면서 임대료도 하락했다. 2분기 명동의 중대형 상가(3층 이상이거나 연면적 330㎡ 초과인 건물) 임대가격지수는 83.3으로 전분기보다 4.59% 떨어졌다. 이 지수는 지난해 4분기 임대료를 100으로 놓고 수치화한 것으로, 지난해 4분기 100만 원이던 시세가 83만3000원까지로 떨어졌다는 뜻이다. 건물주들은 통상 건물 가치 하락을 우려해 상가가 비어도 임대료를 잘 내리지 않는데, 공실 기간이 장기화되며 임대료를 내리기 시작한 것으로 풀이된다.

서울에선 명동에 이어 용산구 이태원(31.9%)과 홍대입구역·합정역 인근 상권(22.6%) 순으로 소규모 상가 공실률이 높았다.

서울 전체 공실률(6.5%)과 전국 공실률(6.4%)은 전분기와 같았다. 공실률이 체감보다 낮은 건 공실률을 산출할 때 연면적의 절반 이상이 비어있는 건물은 제외하기 때문이다.

임대료는 모든 유형의 상업용 부동산에서 하락했다. 전국 중대형·소규모 상가 임대가격지수는 전 분기보다 0.21%, 오피스는 0.09% 각각 떨어졌다.


김호경 기자 kimhk@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