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양국 감정만 더 악화… 한국기업에 되레 타격 줄것”

1일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일본 경제제재에 대한 정부의 보복 조치를 요청합니다’라는 제목의 청원글이 올라왔다. 이 글 작성자는 “국민들부터 일본 제품에 대한 불매운동 및 일본관광 불매로 대응해야 한다”며 “정부는 (일본의) 경제 제재와 관련해 관세 보복 관광 금지 또는 수출 규제 등 방법을 찾아 달라”고 주장했다. 이 청원에는 3일 오후 10시 30분까지 9808명이 참여했다.
일부 누리꾼들은 일본 기업들 명단을 온라인 커뮤니티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로 퍼나르며 이들 회사 제품에 대한 불매운동에 나서자고 제안했다. 불매운동 대상 일본 기업으로는 소니와 니콘 등 전자기기 기업뿐 아니라 유니클로와 세븐일레븐, 닛산 등 90여 곳이 거론됐다.
일본으로 여행을 가지 말자고 주장하는 누리꾼들도 적지 않다. 실제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예약했던 일본 관광을 취소했다는 글이 잇따라 오르고 있다. 두 달 전 일본 여행을 계획했다는 한 누리꾼은 2일 온라인 카페 게시판에 “일본 불매운동의 일환으로 오늘 (관광을) 취소했다”며 “항공 취소 수수료 24만 원을 시원하게 지불했다”고 적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누리꾼들의 이런 움직임이 한일 양국 간의 감정을 더 악화시키고 일본 기업과 연관된 한국 기업들에도 타격을 줄 수 있다고 지적한다. 허윤 서강대 국제대학원 교수는 “일본 제품에 대해 불매운동을 하면 그 제품의 제조와 유통에 관여된 한국 회사와 직원들까지 피해를 본다. 감성적인 관점에서 접근하기보다는 국익을 극대화하는 차원에서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김은지 기자 eunji@donga.com
하지만 전문가들은 누리꾼들의 이런 움직임이 한일 양국 간의 감정을 더 악화시키고 일본 기업과 연관된 한국 기업들에도 타격을 줄 수 있다고 지적한다. 허윤 서강대 국제대학원 교수는 “일본 제품에 대해 불매운동을 하면 그 제품의 제조와 유통에 관여된 한국 회사와 직원들까지 피해를 본다. 감성적인 관점에서 접근하기보다는 국익을 극대화하는 차원에서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김은지 기자 eunji@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