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BR 경영의 지혜]‘착한 기업’ 인증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 동아일보
  • 입력 2015년 4월 9일 03시 00분


코멘트
‘착한 기업’ ‘우수 대학’ ‘맛집’ ‘인증기업’. ‘평가사회’의 단면을 보여주는 용어들이다. 기업을 포함한 조직이 수행하는 활동의 대부분은 언론, 시민단체, 협회, 컨설팅사 등 민간기관이 주도하는 평가시스템의 영향을 받고 있다. 시카고대 경영대학원의 어맨다 샤키 교수와 유타대 정치과학대 래트리샤 브롬리 교수는 한 투자자문회사가 주도하는 환경경영 관련 기업평가 시스템을 연구 대상으로 삼고, 이 시스템이 기업의 환경성과를 개선하는 데 어떤 역할을 하는지 살펴봤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에서 제외된 기업이나 나쁜 평가를 받은 기업보다는 좋은 평가를 받은 기업의 환경성과가 향후 크게 개선됐다. 둘째, 평가 대상 기업의 수가 증가할수록 나쁜 평가를 받은 기업 역시 환경성과 개선 활동에 좀 더 적극적으로 나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받은 기업이 많아지면 나쁜 평가를 받은 기업들이 학습과 모방을 통해 환경성과를 개선할 여지가 커지기 때문이다. 셋째, 평가에서 제외된 기업에 미치는 간접적인 효과는 없는 것으로 분석됐지만 정부의 직접적인 환경규제와 민간 주도의 평가시스템이 상호보완적으로 활용될 때는 평가 제외 기업의 환경성과도 크게 개선됐다. 환경평가 시스템이 ‘당근’으로서의 효과를 적절히 발휘하기 위해서는 강제적 규제라는 ‘채찍’이 병행돼야 한다는 의미다.

민간기관 및 단체에 의한 평가시스템이 정부의 공적 규제시스템을 대체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점점 커지고 있다. 모든 기업이 긍정적 평가를 받기 위해 노력할 것이고, 부정적 평가를 받은 기업은 시장에서 퇴출될 것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하지만 연구 결과에 따르면 모집단 대부분을 평가 대상으로 하지 않는 한 평가시스템이 노리는 간접적 효과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물론 모집단이 적은 경우는 그것이 가능할지 모르나 수만 개의 기업을 평가한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기 때문이다. 이 경우 선택할 수 있는 대안은 민간기관의 평가시스템과 정부의 강력한 규제를 동시에 활용하는 것이다. 민간 영역에 의한 조직평가 시스템이 확대된다고 하더라도 공적 규제시스템이 해야 할 역할은 여전히 남아있는 셈이다.

정리=정지영 기자 jjy2011@donga.com
#착한 기업#인증#기업성과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