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 서비스품질 최우수 기업, SKT-에버랜드 8년연속 1위

  • 입력 2007년 9월 20일 03시 00분


코멘트
0
한국표준협회가 주최하는 ‘2007 한국서비스품질지수’ 시상식이 19일 서울 광진구 광장동 쉐라톤그랜드워커힐호텔에서 열렸다. 이날 시상식에서는 전국 53개 기업과 5개 공공기관이 서비스 품질 우수 기업 및 기관으로 선정돼 상을 받았다. 사진 제공 한국표준협회
한국표준협회가 주최하는 ‘2007 한국서비스품질지수’ 시상식이 19일 서울 광진구 광장동 쉐라톤그랜드워커힐호텔에서 열렸다. 이날 시상식에서는 전국 53개 기업과 5개 공공기관이 서비스 품질 우수 기업 및 기관으로 선정돼 상을 받았다. 사진 제공 한국표준협회
《삼성서울병원과 삼성에버랜드, SK텔레콤이 8년 연속 ‘최우수 서비스 기업’에 뽑혔다. 한국표준협회는 이들 기업과 테마조사를 실시한 제주지역 3개 기업을 포함한 전국 53개 기업과 5개 공공기관을 ‘2007 한국서비스품질 최우수 기업 및 기관’으로 선정해 시상했다고 19일 밝혔다.》

표준협회는 서울대 경영연구소와 공동으로 한국서비스품질지수(KS-SQI)를 개발해 2000년부터 매년 서비스 최우수 기업과 기관을 선정해 왔다.

KS-SQI는 서비스품질을 구성하는 △본원적 서비스 △부가 서비스 △신뢰성 △친절성 △적극적 지원 정도 △접근 용이성 △물리적 환경 등 7개 부문에서 고객 만족도를 조사해 이를 점수화한 것이다.

올해 전체 조사 대상 기업과 기관의 서비스품질 점수는 69.1점(100점 만점)으로 지난해 70.8점에 비해서는 소폭 하락했다. 그러나 2000년 조사 이후 7년 동안 약 15점 이상 상승해 국내 기업들이 서비스 향상을 위해 꾸준히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 분야별 최우수 서비스 기업

서비스 품질지수 업종별 1위 기업 및 기관
업 종1위 기업·기관(브랜드)
종합병원삼성서울병원
테마공원삼성에버랜드
이동통신SK텔레콤
대형서점교보문고
가전서비스삼성전자서비스
컴퓨터삼성전자서비스
손해보험삼성화재해상보험
은행신한은행
패밀리레스토랑아웃백스테이크하우스
렌터카금호렌터카
인터넷포털NHN(네이버)
생명보험삼성생명보험
신용카드삼성카드
자동차기아자동차
휴대전화삼성전자서비스
정수기웅진해피올
온라인자동차교보AXA자동차보험
고속버스금호고속
리조트대명리조트
뷰티헤어숍피엔제이(박준 뷰티랩)
사이버대학한양사이버대
초고속인터넷서비스KT
TV 홈쇼핑GS홈쇼핑
지하철대전시도시철도공사
항공사대한항공
패스트푸드롯데리아
도넛롯데쇼핑(크리스피크림)
영화관롯데시네마
전문대학명지전문대
아이스크림비알코리아(배스킨라빈스)
아파트삼성물산(래미안)
대형할인점삼성테스코 홈플러스
종합대학교서강대
호텔쉐라톤그랜드워커힐호텔
화장품 전문점스킨푸드
백화점신세계백화점
오픈마켓옥션
증권우리투자증권
택배우정사업본부
인터넷서점인터넷교보
커피전문점커피빈코리아
여행사하나투어
피자한국피자헛
주유소현대오일뱅크
제과점CJ푸드빌(뚜레쥬르)
인터넷쇼핑몰CJmall
편의점GS리테일(GS25)
학습지JEI재능교육
공연장LG아트센터
프로야구단SK와이번스
광역시청부산시
도청충남도
구청중랑구
경찰행정충북지방경찰청
세무행정부산지방국세청

삼성서울병원(종합병원)은 전체 평균보다 약 20점이나 높은 88.9점으로 전체 288개 조사 대상 중 서비스품질지수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삼성서울병원과 함께 SK텔레콤(이동통신), 삼성에버랜드(테마공원)는 8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삼성화재(손해보험), 신한은행(은행), 아웃백스테이크하우스(패밀리레스토랑), 삼성전자서비스(가전서비스·컴퓨터), 교보문고(대형서점) 등 5개사는 6년 연속 1위에 올랐다.

삼성생명(생명보험), 삼성카드(신용카드), 금호렌터카(렌터카) 등 3개사는 5년 연속, 삼성전자서비스(휴대전화), 기아자동차(자동차) 등 2개사는 4년 연속 1위 기업에 선정됐다.

삼성전자서비스는 가전서비스, 휴대전화, 컴퓨터 애프터서비스(AS) 등 3개 부문에서 1위에 올랐고 교보문고도 대형서점, 인터넷서점 등 2개 부문에서 최우수상을 받았다.

삼성물산 건설부문(아파트), 대한항공(항공), 신세계백화점(백화점), 우리투자증권(증권), 현대오일뱅크(주유소)는 올해 새로 1위에 올랐고, 서강대(대학교)와 명지전문대(전문대학)는 신규조사 업종 1위를 차지했다.

테마조사로 진행된 제주지역 리조트 부문에서는 신라호텔제주(호텔), 금호리조트(리조트), 대한통운(렌터카)이 각각 1위를 차지했다.

공공기관은 부산시(광역시청), 충남도(도청), 중랑구(구청), 충북지방경찰청(경찰행정), 부산지방국세청(세무행정)이 각각 최우수상을 받았다.

○ 서비스는 호텔이 최고

호텔 업종의 서비스지수는 78.7점으로 전체 53개 조사대상 업종 가운데 지난해에 이어 서비스품질이 가장 높은 것으로 평가됐다.

제주특별자치도 업종별 1위 기업
호텔신라호텔제주
리조트금호리조트
렌터카대한통운

자료: 한국표준협회

이어 종합병원(77.8점), 가전서비스(74.5점), 항공(73.8점), 휴대전화(73.6점), 아파트(73.2점), 인터넷서점(73.2점), 정수기(72.3점) 등의 순으로 좋은 평가를 받았다.

또 올해 조사에서는 전반적으로 대부분의 업종이 지난해 대비 소폭 하락했지만 대형서점(70.7점), 증권(68.6점), 지하철(67.4점), 고속버스(71.1점), 사이버대학(64.5점) 등의 업종에서는 서비스품질 수준이 지난해보다 나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부문의 서비스품질 수준은 65.72점으로 일반 서비스산업 평균에 비해 5점가량 낮아 여전히 개선의 여지가 큰 것으로 조사됐다.

배극인 기자 bae2150@donga.com

■ 어떻게 선정했나

한국서비스품질지수(KS-SQI·Korean Standard-Service Quality Index)는 고객이 특정 기업과 기관의 서비스에 얼마나 만족하는지 보여 주는 지표다.

한국표준협회가 2000년 서울대 경영연구소와 공동으로 개발한 이 지수는 서비스의 질을 평가하는 데 특화돼 있다.

이번 조사는 호텔, 백화점 등 국내 주요 서비스 산업 53개 업종(288개 기업)과 공공행정 분야 5개 부문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특히 올해 조사에는 종합대학교 등 교육서비스업과 제주특별자치도 서비스업이 추가됐다.

실제 조사는 한국갤럽조사연구소와 시장조사업체 베스트사이트가 공동으로 맡았다.

일대일 개별 면접조사와 인터넷 패널조사 방식이 결합됐으며 대상자는 7만900여 명이나 됐다.

해당 기업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직접 이용한 경험이 있는 고객만 대상이 되며, 일정 기준 이상의 경험 빈도를 갖고 있는 소비자를 중심으로 조사가 진행돼 신뢰도가 높다는 것이 표준협회 측의 설명이다.

조사 대상 기업은 해당 업종 내 매출액, 인지도, 기업이미지 등을 감안해 선정했으며, 해당 업종의 전체 시장점유율 70% 기준 상위 기업들이 모두 포함됐다.

평가 항목은 △본원적 서비스 △부가 서비스 △신뢰성 △친절성 △적극적 지원 정도 △접근 용이성 △물리적 환경 등 7개로 구성됐다.

예를 들어 호텔의 서비스 실태를 조사할 경우 전반적인 서비스 수준은 어땠는지, 종업원들의 친절함은 어느 정도였는지, 예상하지 못했던 선물이 있었는지 등을 점검하는 방식이다.

답변은 1∼9점으로 매겨지고 질문마다 가중치를 뒀다. 모든 답변을 합산하면 0∼100점이 나온다.

이 점수를 기초로 같은 업종 내에 속한 기업 간에 서비스 수준을 비교하게 된다.

이지연 기자 chance@donga.com

■ 1등 기업들의 톡톡 튀는 아이디어

무인수속기 설치 탑승시간 줄여

‘비포 서비스’로 고객 사로잡아

‘2007 한국서비스품질 최우수 기업’으로 선정된 기업들의 특징은 한발 앞선 서비스로 고객들을 감동시키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해까지의 연속 1위 기업을 제치고 올해 처음 1위에 오른 대한항공은 최근 승객이 원하는 음악과 영상물을 선택해 볼 수 있는 ‘주문형 오디오·비디오(AVOD)’ 시스템을 도입했다. 일등석에는 180도로 젖혀지는 침대형 좌석과 개인용 칸막이를 설치해 여행의 쾌적함을 더했다. 지난해에는 국내 공항에 무인탑승수속 기기를 설치해 신속한 탑승 수속이 가능하게 했다.

GS홈쇼핑은 고객이 환불을 요청할 경우 상품 회수에 앞서 상품대금을 먼저 고객에게 전달해 주는 등 홈쇼핑 이용객의 편의를 위한 여러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홈쇼핑 방송화면에 상품 발송 예정일을 표시하고, 관심 있는 상품번호를 웹사이트에 등록해 놓으면 방송 한 시간 전에 휴대전화로 문자메시지를 보내 주는 서비스 등이 대표적인 예다.

신세계백화점은 2월 오픈한 본점 명품관 곳곳에 국내외 유명 화가의 그림을 전시하고 매주 문화 공연을 여는 등 백화점을 문화체험 공간으로 꾸몄다. 백화점 각 층에 구두, 선물, 속옷 등 상품별 전문가를 배치해 백화점을 찾은 고객들의 만족도를 높였다.

기아자동차는 지난해 10월부터 고객이 부르기 전에 찾아가는 ‘비포 서비스(Before Service)’로 고객들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다. 전국 백화점, 대형 할인마트, 아파트 등에서 수시로 차량 엔진 및 주요 장치 무상점검을 실시하는 것이 대표적인 예. 지난해 말부터 신차 구입 및 희망 고객을 대상으로 멤버십 프로그램 ‘큐 서비스’를 도입해 7회 정기점검서비스, 맞춤정보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있다.

SK텔레콤은 최근 ‘고객센터 직전상담원 연결제’를 도입해 고객을 기존에 상담했던 상담원과 연결시켜 일관된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했다. 청각장애인을 대상으로 영상통화를 이용해 수화로 상담해 주는 ‘3G+영상고객센터’ 서비스를 시작하고 경로우대요금의 혜택을 강화하는 등 사회적 약자를 배려한 서비스도 선보이고 있다.

삼성카드는 ‘CS 패널제도’를 통해 고객이 삼성카드의 상품과 서비스를 모니터링하고 요구사항을 전달하는 고객경영을 실천하고 있다. CMA 계좌와 체크카드의 장점을 결합한 ‘CMA체크카드’, 주유적립혜택과 자동차 무료정비 서비스 등 자동차 관련 부가서비스가 특징인 ‘OIL&SAVE 카드’ 등 고객의 라이프스타일에 맞는 다양한 카드도 개발했다.

이지연 기자 chance@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