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국회사진취재단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2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사랑재에서 베스트셀러 ‘사피엔스’의 저자인 유발 하라리와 인공지능(AI)을 주제로 대담을 하고 있다. 2025.3.22/뉴스1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작가이자 이스라엘 역사가인 유발 하라리를 만나 인공지능(AI) 산업에 대한 공공 투자 구상을 거듭 강조했다.
하라리는 AI와 인류의 미래를 진단한 책 ‘넥서스’의 국내 출간에 맞춰 방한했다.
이 대표는 22일 하라리와 국회에서 약 100분간 AI 시대의 발전 방향을 주제로 대담했다. 두 사람은 2021년에도 이 대표의 트레이드 마크인 기본소득 구상에 대해 화상으로 토론한 바 있다.
이 대표는 이날 “AI 발전이 경제·사회적 불평등을 가져올 수 있다”는 하라리의 우려에 공감하면서, 자신이 이달 초 제기한 첨단 산업 영역의 공공 참여 구상인 ‘K엔비디아’를 둘러싼 논쟁을 다시 거론했다.
그는 “(AI 산업은) 엄청난 자원을 투자해야 해 거대 기업, 소수만이 부를 누릴 가능성이 높다”면서 “공공 부문이 투자를 해서 투자 이익을 상당 부분 나눌 필요가 있지 않나”라고 했다.
이어 “얼마 전 인공지능 관련 기업에 국민과 국가 자본인 국부 펀드로 투자해 지분을 상당 부분 확보하는 게 어떨지, 사업 자체에 공공이 참여하는 건 어떨까 이야기했다가 공산주의자라고 비난을 많이 받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하라리는 “나는 경제학자가 아니기 때문에 거기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말씀드릴 수 없다”며 직접 답하진 않았다. 다만 19세기 산업혁명 당시 기업들의 아동 노동력 착취 문제를 거론하며 “원칙적으로 볼 때 정부가 반드시 개입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AI 혁명은 한번에 끝날 일이 아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변화는 점점 더 커지고, AI가 점점 더 똑똑해지면서 더 많은 사람을 대체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계속 사람들이 새로운 직업을 가질 수 있게 재활하고 재훈련하는 비용, 또 금전적 지원만이 아닌 심리적 지원, 정신 보건에 대한 투자도 확대해야 한다. 그래서 앞으로 정부가 어떤 식으로든 개입해야 한다”고 자신의 발언 취지를 설명했다.
하라리는 이날 인공지능 시대의 부작용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사람들 사이에 신뢰가 쌓여야 한다”며 “그래야 AI를 우리가 컨트롤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다만 최근의 AI 개발 행태에 대해서는 우려를 표명했다. 하라리는 “벽이 아닌 신뢰를 쌓아야 하는데 벽을 쌓아 이민자들 못 들어오게 하고 관세를 높이는 등 지금 상황이 정반대로 가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AI 혁명 이룬 기업가들에게 노동 시장도 적응할 시간이 필요하고 법도 어떤 윤리적 문제가 정리돼야 하는데 왜 이렇게 빨리 가는지 물으면 대답은 거의 똑같았다”며 “빨리 가는게 위험하고, 천천히 갈 필요가 있다는 걸 알지만 경쟁자를 신뢰하지 못하겠다는 것이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AI가 도구가 아닌 주체적 행위자라고도 했다. 하라리는 “AI는 우리가 만든 기술 중 자기가 혼자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첫 번째 기술”이라며 “거짓말을 하고 사람에게 사기칠 수 있고 우리가 예측 못한 목적도 마음대로 가질 수 있는 존재”라고 했다.
한편 이 대표는 하라리가 인간인 척하는 AI의 위험성에 관해 설명하자 “계엄령을 선포하는 윤석열 대통령이 가짜(인간)인 줄 알았다”며 웃기도 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