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 품은 카카오에 대한 기대와 우려[동아광장/이지홍]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3월 24일 03시 00분


코멘트

SM-카카오, 시너지 창출 기대 모으지만
독과점 폐해와 다양성 저하 우려도 나와
공정위 기업결합심사 귀추가 주목된다

이지홍 객원논설위원·서울대 경제학부 교수
이지홍 객원논설위원·서울대 경제학부 교수
SM엔터테인먼트(에스엠)의 경영권 쟁탈전이 카카오의 승리로 막을 내린다. 시작은 행동주의 펀드와 소액주주였다. 이들이 뭉쳐 에스엠의 불투명한 경영 행태를 시정하며 선진 자본시장 사례로 세간의 이목을 끌었다. 그러던 것이 카카오와 하이브의 느닷없는 등장으로 조(兆)단위의 인수합병(M&A) 싸움이 됐다. 에스엠 주가가 급등하고 ‘승자의 저주’가 점쳐졌다. 카카오가 경영권을 차지하지만 하이브도 일정 부분 공생하는 쪽으로 타협점을 찾은 듯하다.

이제는 공정거래위원회의 기업결합심사를 통과해야 한다. M&A를 하면 규모의 경제를 통한 비용 절감 같은 긍정적인 시너지 효과도 있지만 기업 수가 줄고 경쟁이 위축돼서 여러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그래도 한국은 수출 기업에는 꽤 관대한 편이다. 대표 선수를 밀어주려는 분위기가 있다. 이번 건도 비슷한 양상이다. 카카오는 “음악 IP(지식재산권)의 확장을 넘어 IT(정보기술)와 IP의 결합을 통한 새로운 시너지”를 창출해 “각 사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K컬처 산업이 또 하나의 국가 경쟁력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그러나 대표 선수를 만들려고 멀쩡한 기업들을 결합하는 건 이미 있는 대표 선수를 밀어주는 것과는 전혀 다른 문제다. 시너지가 아무리 커도 그 수혜보다 독과점의 폐해가 클 수 있어서다. 카카오의 문어발식 기업 확장이 여론의 질타를 받은 게 불과 얼마 전 일이다. 규모가 커지고 글로벌 사업이라 해서 그 본질까지 바뀌는 건 아니다.

앞으로 공정위는 여러 측면에서 이번 M&A의 시너지와 경쟁 제한 효과를 종합적으로 판단하게 될 것이다. 심결을 예단할 순 없지만 기본적으로 M&A 전후의 ‘파이’ 사이즈를 비교할 것이다. 예를 들어 가격이 오르면 기업 이윤은 늘지만 소비와 생산이 줄어서 전체 파이가 작아질 수 있다. 빅테크 시대의 도래 이후 기업결합심사가 전보다 깐깐해지는 추세다. M&A가 당장은 괜찮아 보여도 장기적으론 경쟁을 밀어내고 혁신과 성장을 정체시킬 수 있다. 요즘엔 완성 상품뿐 아니라 원천 기술 단계에서까지 경쟁도를 분석한다.

이와 관련해 최근 유럽에서 흥미로운 사건이 있었다. 다우와 듀폰이란 두 글로벌 화학 회사가 합병을 하려 했는데 일부 사업 분리를 명령하는 파격적인 ‘조건부 승인’이 결정됐다. 양측의 특허 포트폴리오 등을 조사한 경쟁 당국이 기술의 유사성과 시장 집중도가 높아서 연구개발(R&D) 중복 투자 감축 등 혁신 저해 유인이 크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사건마다 성격과 쟁점이 물론 다르지만 엔터테인먼트는 지식재산권의 역할이 큰 산업이다. 그중에서도 에스엠은 K팝의 원조 기획사로서 보유한 콘텐츠와 IP도 그만큼 많다. 에스엠의 콘텐츠가 카카오보다 하이브와 유사성이 높은 건 사실이다. 카카오와는 오히려 상호 보완적인 관계라서 이번 M&A가 혁신적이란 평가가 나온다. 카카오는 K팝 시장에선 존재감이 상대적으로 작지만 IT와 플랫폼 역량에다 웹툰, 소설, 영상 등 다양한 콘텐츠까지 가지고 있다. 양사의 포트폴리오를 한데 묶으면 IP 장벽이 없어지고, 시너지를 통해 기존에 없던 상품과 서비스가 새롭게 만들어져 전체 파이도 커진다는 것이다.

절반쯤만 맞는 얘기다. 꼭 K팝이 아니어도 여러 분야의 IP와 혁신 역량이 어느 한쪽에 집중되면 그 기업에는 득이 될지 몰라도 산업 전체의 혁신 수준과 역동성은 낮아질 수 있다. 시장을 넓게 봐야 한다. 시너지를 내는 다방면의 콘텐츠와 이를 전부 소화할 수 있는 소수 대기업 위주의 산업 재편이 가능하고, 그렇게 되면 독과점의 후유증이 깊고 오래 지속될 수 있다. 다소 극단적이지만 사후적으로 큰 논란이 된 페이스북의 인스타그램 인수가 바로 그런 사례다. 많은 K팝 팬들이 에스엠의 고유한 색깔과 세계관이 사라질 것을 우려하고 있다. 경제 측면에서도 일리가 있는 우려라고 생각한다.

이 밖에도 경쟁 당국이 전문적으로 체크해야 할 사안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그 하나가 플랫폼과 함께 늘어난 소위 ‘기그 워커(gig worker)’의 처우 문제다. 공연(gig)이란 의미도 담긴 만큼 수많은 단기고용 근로자들이 직간접적으로 엔터테인먼트 산업에 종사한다. 경쟁이 줄면 이들의 소득도 줄 개연성이 있다. 어정쩡하게 발을 뺀 하이브의 이해관계에도 여전히 의문이 남는다. K팝의 성공 요인은 첫째도 둘째도 치열한 경쟁과 혁신이다. 장기적인 국익 관점에서 짚을 건 엄밀히 짚되 균형 잡힌 현명한 판단이 요구된다. 여러모로 귀추가 주목되는 기업결합심사다.

이지홍 객원논설위원·서울대 경제학부 교수
#sm#카카오#기대와 우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