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경제인연합회가 매출액 기준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벌인 조사에서 응답기업의 10%는 ‘내년 투자 계획이 없다’, 38%는 ‘투자 계획을 세우지 못했다’고 답했다. 절반 가까운 기업의 투자 전망이 불투명하다는 뜻이다. 투자 계획이 있는 기업 중에서도 늘리려는 곳은 13.5%에 불과했고, 나머지는 올해 수준을 유지하거나 줄일 계획이라고 한다.
투자를 저해하는 주요 리스크로 기업들은 글로벌 경기둔화와 고환율, 고물가를 꼽았다. 미중 경제 패권 갈등, 우크라이나 전쟁, 중국 경제 위축 등으로 세계 경제의 성장세가 약해져 투자를 늘리기 꺼려진다는 의미다. 최근 1300원 밑으로 떨어진 환율이 언제 다시 오를지 모른다는 불안감도 크다.
반도체, 2차전지, 5G·6G, 인공지능 등 7대 전략기술 개발과 관련 분야 인재 육성에 4조5000억 원을 투입하기로 한 정부 예산안 통과 여부도 불확실해 관련 기업들은 사업계획을 세우기 힘든 실정이다. 선진국들이 앞다퉈 개발에 뛰어들고 있는 혁신형 소형모듈 원자로(SMR) 예산 역시 삭감 위기다. 국회는 더 이상 국민의 일자리와 소득을 좌우할 기업투자의 발목을 잡아선 안 된다. 투자를 촉진하는 법안, 예산의 처리를 최대한 서둘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