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문에서/박희창]‘밈 주식’에서 희망 찾는 20, 30대의 서글픈 생존 방식

  • 동아일보
  • 입력 2021년 8월 14일 03시 00분


코멘트
박희창 경제부 기자
박희창 경제부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영화관들은 여전히 개점휴업 상태다. 하지만 ‘서학개미’(해외 주식에 투자하는 국내 투자자)들은 최근 40여 일간 미국 극장체인 AMC엔터테인먼트의 주식을 8400억 원 넘게 매매했다. 결제액 기준으로 상위 7위다. 구글 주식인 알파벳A를 뛰어넘는 수준이다.

AMC는 미국 증시의 대표적인 ‘밈 주식(meme stock)’이다. 밈 주식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에서 인기를 끌어 주가가 급등한 종목을 일컫는다. 밈은 진화생물학자 리처드 도킨스가 ‘이기적 유전자’에서 처음 쓴 말로, 그리스어 모방(mimeme)과 유전자(gene)의 합성어다. 주식이 입소문을 타자 투자자들이 모방 투자에 나선다는 뜻이다.

올 들어 주식 투자 열풍을 타고 밈 주식도 달아올랐다. 상반기(1∼6월) 서학개미들이 가장 많이 사고판 해외 주식 10개 중 3개가 밈 주식이다. 특히 20, 30대 청년 개미들이 ‘밈 놀이’를 하듯 밈 주식에 많이 투자했다. 외신들은 밈 주식의 긍정적인 면을 지적하기도 한다. AMC가 코로나19 사태에도 살아남은 건 밈 주식 열풍으로 주가가 급등하자 이를 활용해 자본을 확충하고 시설 개선, 추가 투자 등에 나선 덕분이다.

하지만 밈 주식은 실제 기업가치와 상관없이 단순히 입소문에 기대 오르는 만큼 도박에 가깝다. 실제로 AMC 주가는 두 달 만에 50% 가까이 폭락해 투자자들에게 큰 손해를 안겼다. 이런데도 밈 주식에 눈 돌리는 20, 30대 서학개미는 꾸준히 늘고 있다. 최근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가 주춤하자 밈 주식을 다음 타깃으로 삼았다는 젊은 투자자도 많다. 30대 초반 후배 A도 새로운 밈 주식을 찾기 위해 매일 미국의 온라인 주식 토론방을 찾는다.

2030세대가 다양한 투자처를 찾는 건 바람직한 현상이다. 청년들이 고위험 투자에 뛰어드는 게 한국만의 현상도 아니다. 하지만 한국 2030세대의 ‘빚투’(빚내서 투자)가 주식시장에서 가상화폐와 미국 증시의 밈 주식으로까지 번지는 건 여러모로 정상적으로 보이지 않는다.

평생 내 집 마련이 요원해지면서 ‘벼락거지’의 위기감을 느낀 한국 청년들이 코인과 밈 주식으로 불나방처럼 뛰어드는 측면이 크기 때문이다. 수도권의 소득 대비 주택가격 비율(PIR)은 10.4배(3월 기준)로 사상 최고치로 뛰었다. 10년 넘게 번 소득을 한 푼도 쓰지 않고 모아야 수도권에 겨우 내 집을 마련할 수 있다는 얘기다. 후배 A도 “맞벌이하면서 아무리 돈을 모아도 집 한 채 살 수 없다. 최대한 높은 수익을 올릴 수 있는 밈 주식에 투자해 돈을 불리는 게 합리적”이라고 했다.

밈 주식은 점점 커지는 자산 격차를 메우기 위해 청년들이 찾아낸 또 다른 생존 방식인 셈이다. 20, 30대에게 내 집 마련의 꿈을 앗아간 건 정부 여당을 비롯한 기성세대 탓이 크다. 좋은 일자리는커녕 ‘관제 알바’를 만드는 데 나랏돈을 쏟아붓고 있으니 청년들에게 희망이 보일 리가 없다. 좌절과 분노한 청년들을 한탕주의 시장 대신 건실한 경제 현장으로 불러들이기 위한 해법을 찾아야 할 때다.



박희창 경제부 기자 ramblas@donga.com


#밈 주식#희망#생존 방식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