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 간 청와대 회동이 성사 직전까지 갔었다는 사실은 양측이 강도 높은 비난과 위협을 주고받으면서도 물밑에선 접촉을 통한 극적인 타협을 모색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공개적인 ‘말의 전쟁’ 속에서도 비밀외교는 작동하고 있었던 것이다. 앞으로도 북-미 대화를 위한 이런 시도는 계속될 수 있다. 하지만 대화의 물꼬도 트지 못하는 현실에서 비핵화 논의 자체를 거부하는 북한과의 대화가 과연 가능한 것인지 되묻게 하는 대목이기도 하다.
북한은 회동 예정일 오전까지도 만남은 유효하다고 하다가 회동 직전 펜스 부통령의 탈북자 면담, 추가 제재 발언 등에 불만을 표시하며 취소했다고 한다. 펜스 부통령이 천안함을 방문하고 탈북자들을 만나며 대북 압박을 계속하자 북한으로선 만나봤자 득 될 게 없다고 판단했을 것이다. 특히 전날 개막 리셉션에서 북한의 헌법상 국가수반 김영남과 악수조차 하지 않는 펜스 부통령의 태도를 보고받은 김정은이 최종 취소 지시를 내렸을 수 있다.
정부는 남북 대화 창구를 통해 북한에 비핵화 결단을 촉구하고 미국과 더욱 긴밀히 공조해야 한다. 내일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딸 이방카 백악관 고문이 한국에 온다. 이방카는 극단을 오가기 일쑤인 트럼프 정책을 완화 조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 정부의 외교력에 따라선 ‘이방카 모멘텀’도 기대할 수 있을지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