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여성이 달라졌다…‘결혼 의향’ 1년새 57→64%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5월 20일 14시 55분


코멘트

“자녀 필요” 응답도 14%p 증가

결혼할 생각이 있는 20대 여성이 1년 전보다 큰 폭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출산 의향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일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가 발표한 ‘결혼·출산·양육 및 정부 저출생 대책 인식 조사’ 결과에 따르면 25~29세 여성의 결혼 의향은 64.0%로 조사됐다. 이는 지난해 3월 조사의 56.6%보다 7.4%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전체 여성 응답자의 결혼 의향도 같은 기간 48.2%에서 57.4%로 9.2%포인트 증가했다. 이번 조사는 올 3~4월 25~49세 국민 265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출산 의향도 증가 추세다. 전체 응답자 중 ‘자녀가 있어야 한다’는 응답은 지난해 3월 61.1%, 9월 68.2%에서 이번 조사에선 70.9%까지 올랐다.

특히 여성 응답자의 출산에 대한 긍정 답변은 1년 새 51.9%에서 63.4%로 올라 증가 폭이 남성보다 컸다. 연령별로는 20대 여성의 긍정 답변이 34.4%에서 48.7%로, 30대 여성은 51.7%에서 60.1%로 늘었다.

자녀가 없는 20대 여성의 출산 의향은 34.7%로, 지난해 9월 조사의 28.1%에 비해 6개월 새 6.6%포인트 급증했다. 반면 ‘자녀를 낳지 않겠다’는 응답은 34.1%에서 28.4%로 크게 줄었다.

정부 저출산 대책 중 기대효과가 가장 큰 항목으로는 76.7%가 ‘신혼·출산·다자녀 가구 주택 공급 확대’ 정책을 꼽았다. 이어 ‘유치원 어린이집 무상 교육·보육 실현’ 75.3%, ‘신생아 특례 대출 가구 소득 기준 완화’ 74.9% 순이었다.

향후 정부 지원이 강화돼야 할 분야로는 남성은 ‘육아휴직 급여 상한액 추가 확대’(59.3%)와 ‘결혼·출산 가구 세금 혜택 확대’(58.5%)를 꼽은 응답자가 많았고, 여성은 ‘엄마·아빠의 육아기 유연근무 사용 활성화’(56.9%), ‘부모급여, 아동수당 등 현금성 지원 확대’(51.5%)를 주로 원했다.

주형환 저출산위 부위원장은 “결혼과 출산 인식 개선은 반가운 신호이지만, 주거시장 불안과 좋은 일자리 감소 등으로 저출생 반전 동력이 약화될 가능성이 여전히 존재한다”며 “저출산 정책 효과가 극대화되도록 체감도 높은 정책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겠다”고 말했다.

#20대 여성#저출산 대책#결혼#출산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