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정부가 ‘일본통’인 강창일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주일한국대사로 내정한 데 이어, 일본도 ‘지한파’ 아이보시 대사를 주한일본대사로 내정하면서 한일 관계 개선 의지를 반영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교도통신 등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도미타 고지 주한일본대사를 신임 주미일본대사로 지명하고, 도미타 대사의 후임으로는 아이보시 대사를 내정했다.
특히 아이보시 대사는 ‘한류팬’을 자처할만큼 친한파라고 알려졌다. 그는 두 번째 한국 근무 시절인 2008년 주한 일본공보문화원 홈페이지에 ‘슬픈 한국어’라는 제목의 칼럼을 통해 한국어와 한류에 대한 애정을 드러내기도 했다.
그는 한국에서 처음 근무할 당시 한국어를 공부하기 위해 노력했다고 전하며 “노래를 한곡 외우면 그만큼 한국어가 향상될지도 모른다는 기대감에 많은 음악CD를 구입해 가사를 사전으로 찾아보고는 했다”고 밝혔다.
아이보시 대사는 일본에서 한류붐이 불면서 한국 문화에 더욱 빠져들게됐다고 했다. 그는 “해외출장시 비행기안에서 한국 영화를 보고 출장지에서도 현지의 한국요리점을 꼭 들렀기에 때로는 동행에게 폐를 끼치는 일도 있었지만, 한국문화에 흠뻑 빠져들어 업무 스트레스를 해소했다”며 “출장에서 돌아오는 길, 나리타공항에서 바로 신승훈 콘서트장에 가기도 했다”고도 소개했다.
아이보시 대사가 부임할 경우 주한일본대사관 고위직 세 자리에 한국어가 유창한 외교관들이 포진하게 된다. 대사관의 소마 히로히사 총괄공사, 미바에 다이스케 정무공사는 일본 외무성의 대표적인 ‘코리안 스쿨’이다.
한편 주일한국대사로 내정된 강 전 의원도 대표적인 ‘일본통’이다. 강 내정자는 일본 동경대에서 석사(동양사학)와 박사(문학) 학위를 받았다. 지난 2017년부터는 국회 한일의원연맹 회장을 지냈으며, 현재는 한일의원연명 명예회장을 맡고 있다.
한·일 양국이 각각 대사를 주재국 전문가로 교체하는 것은 한일 관계 개선 의지를 반영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미국 대선에서 조 바이든 민주당 후보가 당선된 이후 한일관계 개선을 위한 움직임이 급물살을 탔다.
박지원 국가정보원장과 한일의원연맹 소속 의원들은 지난달 연이어 일본을 방문해 ‘도쿄올림픽’ 협력과 한일관계 정상화를 제안했다.
다만 한일관계 개선이 의지만으로는 어렵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일 갈등의 핵심인 강제징용 문제를 그대로 둔 채로 우리 정부가 제안을 해 봐야 일본 정부가 응할 가능성은 전무하다는 게 대체적인 분석이다.
특히 일본 전범기업에 대한 자산 현금화 조치는 사실상 한일관계의 ‘레드라인’으로 여겨진다. 한국의 강제징용 피해자들은 2018년 10월 나온 한국 대법원의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 판결을 근거로 일본 기업들에 대한 자산 매각 절차를 진행 중인데, 내년 상반기쯤 매각절차가 개시될 것으로 예상된다.
일본은 일본 기업에 대한 자산현금화 조치가 매우 심각한 상황을 초래하므로, 절대적으로 피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우리 측에 일본이 수용 가능한 해결책을 조속히 내놓으라고 요구하고 있다.
(서울=뉴스1)
[김순덕 칼럼]인권침해 낙인찍힌 ‘문재인 보유국’
文의 ‘검찰 황태자’ 이성윤, 기소 넘어 차기 檢총장 꿈 이룰까
檢, ‘김학의 출금’ 이광철 출석통보…윗선 수사 확대
[단독]삼성家 ‘이건희 컬렉션’ 사회 환원 가닥… “기증규모 1조 이상”
“Thank you” 질문에 답변은? “…” 원격수업에 무너진 학력
[오늘과 내일/박용]정권 말 한국 vs 집권 초 미국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