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횡설수설/고미석]한국의 적자생존, 받아 적기

  • 동아일보
  • 입력 2017년 1월 31일 03시 00분


코멘트
 ‘서울대에서는 누가 A+를 받는가’란 책이 3년 전 세간의 주목을 받았다. 한국 사회의 체험적 상식인 ‘받아쓰기를 잘해야 성적을 잘 받을 수 있다’는 점을 심층 인터뷰와 설문조사로 밝혀낸 책이다. 서울대 교수학습개발센터 연구교수 출신의 저자 이혜정 교육과혁신연구소 소장이 인터뷰한 최우등생들의 87%는 “강의시간에 교수의 말을 한마디도 놓치지 않고 최대한 다 적는다”며 시험이나 과제에도 그대로 쓴다고 했다.

 ▷미국 명문대라면 어떨까. 2015년 EBS 다큐멘터리 ‘시험’에서 노벨상 수상자를 여럿 배출한 미시간대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강의내용 필기와 학점은 상관관계가 없었다. 한 학생이 “받아 적는 것은 생각을 차단한다. 설명을 받아 적는 대신 떠오르는 생각을 적는다”고 말한 것이 기억 속에 생생하다. 올 1학기부터 서울대도 받아쓰기식 학습 풍토를 바꾸는 실험을 할 예정이다. 일부 교양과목에서 학점 대신 ‘합격·불합격’ 평가방식을 시범 도입한다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받아쓰기’가 교실을 벗어난 뒤에도 계속된다. 사장님의 지침은 간부들이, 장관님 지시는 실·국장이 받아 적는다. ‘박근혜 청와대’는 그 정점에 있었다. 국무회의나 수석비서관회의에서 대통령 말씀을 하나라도 놓칠세라 심각한 표정으로 받아 적는 장면은 뉴스의 단골 영상이다. 구속된 안종범 전 대통령정책조정수석비서관은 ‘모범생’이었나 보다. 대면보고를 꺼리는 박근혜 대통령과의 통화 전용으로 마련된 휴대전화를 통해 2년간 지시받은 내용을 빠짐없이 받아 적은 수첩이 510쪽, 17권에 이른다.

 ▷박 대통령은 지시 사항을 불러주면서 종종 “받아 적고 있나요”라고 확인했다는 것이 안 전 수석의 진술이다. 이 정부의 대표 브랜드인 창조경제 역시 구상에서부터 실행까지 ‘받아쓰기’로 점철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학교에선 선생님 말씀, 사회에선 윗분 말씀을 그대로 받아 적고, 받드는 것을 핵심 역량으로 갖춘 사람들이 승승장구하는 사회. 그 속에서 4차 산업혁명이 요구하는 창의적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혁신이 가능할지 의문이다.

고미석 논설위원 mskoh119@donga.com
#받아쓰기#박근혜#안종범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