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사정당국에 따르면 우 전 수석 산하 민정수석실 관계자들이 이 씨의 활동 과정을 탐문해 근무 이력과 세간의 평판, 비위 유무와 미르재단 내부 갈등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검찰도 민정수석실이 이 씨를 비롯해 차 씨의 일감 수주 문제점과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고위직 인사에 영향력을 행사한 의혹을 확인하고서 이를 방치했는지 수사하기로 했다. 사정당국 관계자는 “민정수석실이 기업 등 여러 경로에 이 씨의 근무 이력과 비위 여부를 확인한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민정수석실이 이 씨의 동향까지 파악했다는 것은 사정(司正)과 동향 정보를 총괄하는 민정수석실이 안종범 전 대통령정책조정수석비서관(구속), 비선 실세 최 씨 그리고 박근혜 대통령이 이 사건의 중심에 있다는 점을 인지했을 개연성이 있다는 말이다. 민정수석실이 파악한 동향을 우 전 수석이 보고받고도 묵인했는지 등은 앞으로 검찰 수사에서 규명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검찰 특별수사본부 내부에서는 그 어느 때보다 우 전 수석을 강도 높게 수사하려는 기류가 흐르고 있다. 특수본은 기존에 특별수사팀(팀장 윤갑근 대구고검장)이 확보하지 않았던 우 전 수석과 부인 이 씨의 휴대전화를 압수하고 2상자 분량의 압수물을 10일 확보했다. 우 전 수석이 사용한 휴대전화가 수사 대상에 오른 것은 처음이다.
특수본은 차 씨가 송성각 전 한국콘텐츠진흥원장과 공모해 옛 포스코 계열 광고회사 ‘포레카’ 지분을 빼앗으려 한 사건에 안 전 수석도 관여된 정황을 포착하고 11일 권오준 포스코 회장을 참고인으로 소환 조사한다. 안 전 수석은 검찰 조사에서 차 씨를 만나게 된 계기에 대해 “최순실 씨가 아닌 박근혜 대통령의 소개로 만났다”고 진술했다.
장관석 jks@donga.com·조건희·배석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