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9칸 한옥을 수직으로 쌓은듯한 공간[임형남·노은주의 혁신을 짓다]

  • 동아일보
  • 입력 2022년 1월 18일 03시 00분


코멘트
최고의 한국 현대건축 가운데 하나로 꼽히는 서울 종로구 원서동의 구 공간사옥 내부. 건물 각층의 바닥을 반 층씩 엇갈리게 스킵플로어로 설계해 미로에 들어선 듯한 기분을 선사한다. 박영채 제공
최고의 한국 현대건축 가운데 하나로 꼽히는 서울 종로구 원서동의 구 공간사옥 내부. 건물 각층의 바닥을 반 층씩 엇갈리게 스킵플로어로 설계해 미로에 들어선 듯한 기분을 선사한다. 박영채 제공
임형남·노은주 가온건축 대표
임형남·노은주 가온건축 대표
가끔 언론사나 건축 단체에서 한국건축에 대한 설문조사를 하곤 한다. 설문 내용은 주로 최고의 현대건축, 최고의 고전건축은 무엇인가 하는 것인데, 그러다 가끔은 가장 실패한 건축에 관해 묻기도 한다. 결과는 설문조사를 시행하는 시기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긴 하지만, ‘실패작’ 1위는 여의도 국회의사당, 최고의 고전건축은 영주 부석사, 최고의 현대건축은 원서동에 있는 구 공간사옥(현 아라리오 뮤지엄 인 스페이스)으로 선정되는 빈도가 높다.

좋은 건물이란 무엇일까. 아름다운 건물, 화려한 건물 등 다양한 기준이 있겠지만 건축가의 입장에서 본 좋은 건물이란, 어떤 생각이나 개념이 건물에 적절하게 녹아들어 그것이 건물의 부분을 이루고 공간으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그 배경에 시대에 대한 생각이나 건물이 자리하는 땅의 특성이 배어 들어갈 때 최고의 건축이 되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공간사옥은 좋은 건축의 조건을 모두 갖추고 있다.

공간사옥은 한국의 대표적인 현대건축가 김수근이 이끌었던 설계사무소의 사옥이다. 1985년 55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지만, 그가 활동했던 25년의 세월은 우리나라가 경제적, 사회적으로 비약적으로 빠른 속도의 압축 성장을 거듭하던 시절이었다. 일본에서 건축을 공부한 김수근은 30대 초반에 귀국하여 거의 쉬지 않고 활동하며 한국 현대건축의 틀을 만드는 데 크게 기여했다. 그리고 그가 이끌었던 ‘공간그룹’은 건축뿐 아니라 우리나라 문화 전반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중학교 통학을 할 때 나는 버스를 타고 다녔는데, 명륜동과 안국동을 거치는 구간이 있었다. 그때 창덕궁을 지나 나오는 원서동 정류장에서 보면 보이는 검은 벽돌로 지은 건물이 항상 눈에 들어왔다. 당시에는 그 건물이 어떤 용도인지 무슨 건물인지 알 수 없었지만 늘 그 건물에 대한 호기심이 있었다. 한참 뒤에나 그 건물에 들어갈 수 있었는데 ‘공간사랑’이라는 지하에 있는 극장에 연극을 보러 가면서였다. 큰길에서 완만한 경사를 살짝 올라가면 건물 하부가 뻥 뚫려 있고, 그곳으로 스며들면 극장으로 들어가는 작은 문이 나타난다. 신발을 벗어서 신발주머니에 넣어 들고 내부로 들어갔다. 뭔가 복잡한 생물의 배 속으로 들어가는 것 같았다. 컴컴하고 외장 재료로 주로 쓰는 벽돌이 내부까지 연결되어 있어, 작은 공간은 마치 좁은 골목 중간에 나타나는 공터와 같았다. 그런데 그 공간이 참 편안했다. 좁은 동굴로 들어간 것 같기도 했고, 기억에도 없는 태중의 공간에 다시 들어간 것 같기도 했다.

그때가 1970년대 말이었는데 뭔가 이 공간은 특이하다는 생각이 들었고, 흔히 쓰는 일반 명사인 ‘공간’에 대해, 공간이라는 말의 의미에 대해 생각해보기는 그때가 처음이었을 것이다.

공간사옥은 세 차례에 걸쳐서 지어진, 일군의 마을이다. 1971년에 김수근이 살았던 집 자리에 지은 작은 건물을 시작으로 1977년에 증축이 이루어졌다. 1997년에 김수근의 뒤를 이어 공간그룹을 이끌었던 장세양의 주도하에 유리로 된 신관이 만들어졌다. 그리고 2002년 장세양 이후 공간그룹을 이끌던 이상림이 신관과 구관 사이에 있었던 한옥을 인수하고 고쳐서 마지막 ‘공간’의 영지가 완성된다.

담쟁이 넝쿨이 휘감고 있는 구 공간사옥 전경. 공간사옥은 1971년을 시작으로 1977년, 1997년 증축해 지금의 모습을 완성했다. 박영채 제공
담쟁이 넝쿨이 휘감고 있는 구 공간사옥 전경. 공간사옥은 1971년을 시작으로 1977년, 1997년 증축해 지금의 모습을 완성했다. 박영채 제공
공간사옥이 처음 자리 잡던 1971년 무렵에 원서동은 주변에 한옥이 밀집된 곳이었다. 지금의 현대건설 사옥 대신 낮은 건물과 휘문고, 그리고 잔잔한 한옥들이 있는 전형적인 서울 사대문 안의 풍경이었다. 김수근이 설계사무실을 개설한 지 10년이 지나던 시기였고, 여러 가지 시대적인 운이 따라 당시로는 약관의 나이에 굵직굵직한 사업들의 설계를 맡았다. 대형 프로젝트였던 세운상가를 지었고 한국일보 사옥, 워커힐, 남산 자유센터 등 쉴 틈 없이 많은 건물을 지었다. 일본에서 대학원을 갓 졸업한 신인 건축가가 갑자기 그렇게 많은 일을 소화했기에, 생각을 가다듬고 자신의 건축관을 정립한 틈도 없이 일만 했던 것이다.

그 와중에 그가 설계하고 지은 부여박물관이 왜색 시비에 휘말리게 된다. 많은 공격을 받고 상처를 입게 되는데, 오히려 그것이 그에게 한국건축 혹은 한국성에 관해 공부하는 계기를 만든다. 그와 더불어 한국의 전통 예술가들과 활발히 교류하고 문화적인 후원자 역할을 하게 된다.

그 무렵에 공간사옥을 짓게 된다. 기와로 뒤덮인 주변의 색상과 어울리는 전벽돌은 처음에는 구조재였는데, 증축 시에는 콘크리트 구조 위를 덮는 마감재로서 건물 안팎 대부분을 감싸고 있다. 같은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내외부가 틈입하고 교류하는 공간이 만들어지고, 스킵 플로어로 층이 불명확한 내부 공간은 일본 건축가 이토 도요가 이야기했듯 “미로와 같다”. 마치 99칸의 한옥을 수직으로 적층한 듯한 공간감이다.

한국의 공간은 흐른다. 공간사옥도 흐른다. 층을 넘나들고 내외부를 넘나든다. 김수근의 한국성에 대한 학습은 공간사옥으로 배어들고, 그의 생각이 녹아들고 이어진다. 장세양은 외부에서 보는 형태보다는 공간을 창조한 정신이 이어지도록 시간의 축을 표현하고자 했다. 공간적 흐름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유리로 된 매스는 창덕궁이 보이는 모습을 담는다.

공간사옥이 경영상의 이유로 매각된 시점에서 문화예술계 일각에서 많은 우려가 있었지만, 아라리오 뮤지엄 측이 원래의 공간과 개념을 잘 보존하고 유지하면서 작지만 큰 의미를 품은 랜드마크로 여전히 원서동의 그 자리를 지키고 있다.



임형남·노은주 가온건축 대표


#한옥#공간#건축#한국건축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