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론/박일호]미래로 가는 예술계, 과거에 머무른 문체부

  • 동아일보
  • 입력 2019년 2월 16일 03시 00분


코멘트

무대에 관객 오르고, 영화 보며 떼창도
참여하는 예술로 작가-관객 벽 무너져
우리 국민 문화예술 욕구, 갈수록 증대
문화예술계도 화답해 다양한 시도 도전

박일호 이화여대 조형예술대 교수
박일호 이화여대 조형예술대 교수
서울시에서 2년마다 개최하는 국제 미디어아트 비엔날레 전시 총감독을 맡았던 적이 있다. 10년 전 일이고 미디어 비엔날레가 시작된 지 10년째 되던 2008년이었다. 당시만 해도 미디어아트에 대한 이해가 높지 않았기에 필자는 두 가지 측면에 초점을 맞추었다. 우선 관객이 흥미를 갖고 재미를 느껴야 한다고 생각했다. 예술이 고상하고 전문적인 몇몇 사람들을 위한 것에 그쳐서는 안 된다는 점에서였다. 또 하나는 미디어아트가 컴퓨터와 비디오를 이용한 색다른 작품이란 점에서 새로운 예술적 경험이 무엇인가를 유형화하려 했다.

그 결과 가장 큰 인기를 끌고 많은 사람이 관심을 나타낸 것은 인터랙티브 아트라는 형태였다. 번역하면 ‘상호작용적 예술’인데 관객이 직접 참여해서 작품과 상호 작용하는 것들이다. 관객이 빛을 발하는 작은 공을 들고 움직이면 공의 움직임에 따라 스크린 위에 나비들이 날아다니는 작품도 있었고, 의자에 앉아서 숨을 쉬면 의자에 장착된 컴퓨터 센서가 관객의 호흡의 세기와 길이를 감지해서 서예가의 호흡과 연관 지어 바닥에 서예가의 글씨가 나타나도록 한 작품도 있었다.

많은 사람이 신기한 체험을 주는 ‘이런 것들도 미술작품인가’ 하는 의문을 나타냈다. 그때나 지금이나 필자는 이런 작품들이 미술의 전부는 아니며, 우리가 경험하는 삶의 내용을 물감이나 돌과 같은 전통적 매체가 아니라 컴퓨터나 첨단 과학기기를 통해서 나타내는 방법의 차이라고 생각한다. 관객이 수동적인 위치에서 일방적으로 작품의 메시지와 느낌을 주입받는 방식에서 벗어나자는 의도를 반영한 작품들이다. 관객들이 작품에 직접 참여해서 다양한 해석과 느낌을 갖도록 한다는 점에서 관객 참여형 예술이다.

관객 참여형 예술은 미술 작품뿐만 아니라 영화나 공연에서도 시도되고 있다. 영국 록밴드 퀸의 이야기를 다룬 영화 ‘보헤미안 랩소디’를 극장에서 ‘싱어롱 스페셜 상영회’라는 형태로 상영하기도 했다. 영화를 보면서 노래를 따라 부를 수 있도록 해 영화를 단지 보는 것이 아니라 체험하면서 다양한 해석과 느낌을 갖도록 한 것이다.

전 세계에 다시 한류 바람을 일으키고 있는 방탄소년단 콘서트 실황 영화를 보면서 관객들이 방탄소년단의 응원봉을 들고 마치 공연 실황을 체험하는 것처럼 연출하기도 하고, 뮤지컬 관객들이 감동을 보다 오래 간직할 수 있도록 무대 뒤의 배우들 의상과 소품을 직접 둘러보게 하기도 하고, 뮤지컬에 등장하는 춤을 위한 클래스를 운영하기도 한다.

이렇게 예술이 창작자 중심에서 창작자와 관객이 함께하는 예술로 달라지고 있다. 그만큼 관객들의 문화예술에 대한 욕구가 깊어지고 있음이요, 영화나 공연이나 미술 작품을 보면서 다양한 해석이나 평가를 내릴 만큼 수준이 높아졌음을 의미한다. 그런데 이런 수준 높은 관객을 두고 문화체육관광부에서 펼치는 행정은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는 것 같다. 문화정책이나 문화기관이 예술인들과 예술을 즐기고 싶어 하는 사람들의 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어서 하는 말이다.

‘블랙리스트 진상조사 및 제도개선위원회’가 징계안을 냈지만 ‘솜방망이 처분’과 형식적인 결과라는 반발이 문화예술계에서 거세다. 1년 넘게 비어 있던 국립중앙극장장과 한국문화예술위원장의 인사는 정권이 바뀔 때마다 코드 인사가 관행처럼 반복됐다. 최근 국립현대미술관장 인선을 두고도 여론이 심상치 않다. 이번에는 코드 인사보다 절차상의 미숙함이 더 문제다. 선발 과정에서 고위 공직자라면 거치는 인사혁신처의 역량평가에서 재평가를 실시하는 무리수를 뒀다는 지적이다.

도종환 문체부 장관은 곧 국회로 돌아간다. 정치인이지만 시인이기도 한 장관이었기에 블랙리스트 문제로 멍든 문화예술계를 예술가의 감성으로 보듬어 주기를 바랐건만, 그런 기대를 뒤로하고 다시 정치인으로 돌아간다.

이제 공은 국립현대미술관의 새 관장에게 넘어갔고, 그 앞에는 문체부가 보여주지 못한 다양성과 관객 중심의 운영이라는 숙제들이 쌓여 있다.
 
박일호 이화여대 조형예술대 교수
#인터랙티브 아트#관객 참여형 예술#도종환 문체부 장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