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美제재 탓 헬기부품 못구해 추락” 美 “악천후에 왜 띄웠나”

  • 동아일보
  • 입력 2024년 5월 22일 03시 00분


코멘트

‘이란 대통령 헬기 추락사’ 신경전
사고 헬기 1976년 도입 노후기종
이란 “美의 범죄” 美 “한 게 없다”
하메네이 후계자로 차남 유력설… 세습 반발에 권력투쟁 가능성도

대통령 시신 운구 트럭…  애도하는 이란 시민들 21일 이란 북서부 타브리즈에서 열린 에브라힘 라이시 대통령의 장례식에서 추모객들이 시신 운구 트럭 주위에 모여들어 애도하고 
있다. 라이시 대통령은 시아파 성지 쿰, 수도 테헤란 등을 거쳐 23일 그의 고향 마슈하드에 안장된다. 그는 이틀 전 인근 
산악지대에서 헬기 추락사고로 숨졌다. 타브리즈=AP 뉴시스
대통령 시신 운구 트럭… 애도하는 이란 시민들 21일 이란 북서부 타브리즈에서 열린 에브라힘 라이시 대통령의 장례식에서 추모객들이 시신 운구 트럭 주위에 모여들어 애도하고 있다. 라이시 대통령은 시아파 성지 쿰, 수도 테헤란 등을 거쳐 23일 그의 고향 마슈하드에 안장된다. 그는 이틀 전 인근 산악지대에서 헬기 추락사고로 숨졌다. 타브리즈=AP 뉴시스
에브라힘 라이시 이란 대통령의 헬기 추락사를 둘러싼 미국과 이란의 신경전이 격화하고 있다. 이란 측은 “미국의 오랜 경제 제재로 대통령까지 노후 헬기를 탈 수밖에 없었다”며 불만이 가득하다. 미국 정부는 “악천후 속에서 56년 된 헬기를 띄운 것은 이란”이라며 책임론을 반박했다. 또한 라이시 대통령의 죽음에 애도를 표명하면서도 그의 인권 탄압 행적을 비판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신정일치 국가인 이란의 최고지도자 알리 하메네이의 후계자로 꼽혔던 라이시 대통령의 빈자리를 둘러싼 권력 다툼도 가속화할 것으로 보인다. 하메네이의 강한 신뢰를 얻고 있는 그의 차남 모즈타바(55·사진), 시아파 고위 성직자 알리레자 아라피(68) 등이 후계자로 거론된다. 이와 별개로 대통령 보궐선거는 다음 달 28일 치르기로 했다.

● 이란 “美 제재 탓”…美 “이란 책임”

이란 당국은 공식 사고 원인을 발표하지 않았다. 다만 20일 국영 IRNA통신은 라이시 대통령이 탑승한 미국산 ‘벨-212 헬기’의 기술적 고장을 지목했다. 1968년 첫 비행을 했고 1976년 이란에 도입된 노후 기종이다. 1972년 이후 최소 430건의 사고가 발생했다.

이란은 1979년 이슬람혁명 당시 민간인 희생, 주이란 미국대사관 소속 미국인 억류, 핵개발 의혹 등으로 수십 년간 미국을 비롯한 서방 주요국의 경제 제재를 받아 왔다.

이란 측이 문제 삼는 부분이 이 대목이다. 모하마드 자바드 자리프 전 외교장관은 20일 “미국의 제재가 대통령 일행의 순교를 초래했다. 미국의 범죄는 역사에 기록될 것”이라고 반발했다. 오랜 제재로 인해 제대로 된 항공 부품을 조달할 수 없었다는 얘기다. 기껏 구한 항공 부품도 대부분 암시장에서 조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매슈 밀러 미 국무부 대변인은 같은 날 “악천후에 헬기를 띄우기로 결정한 주체는 다름 아닌 이란”이라며 “제재를 사과하지 않겠다”고 맞섰다. 로이드 오스틴 국방장관도 “미국이 사고에 아무 역할을 하지 않았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라고 동조했다.

특히 국무부는 애도 성명에서 라이시 대통령이 정치범 5000여 명 처형, 반정부 시위 탄압 등을 주도한 사실을 거론했다. 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보소통보좌관은 “그는 손에 많은 피를 묻혔다. 역내 안보 저해 행위에 대한 이란의 책임도 계속 물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밀러 대변인은 이란 측이 사고 발생 직후 “헬기 수색을 도와달라”고 요청했지만 물류 문제로 지원하지 못했다고 했다.

● 하메네이 후계자에 ‘차남 유력설’

라이시 대통령의 장례는 2박 3일 동안 치러진다. 21일 사고 장소와 가까운 타브리즈에서 시작해 시아파 성지(聖地) 쿰, 수도 테헤란 등을 거쳐 23일 그의 고향 마슈하드에 안장된다.

수도 테헤란의 도심 발리아스르광장 등은 추모객으로 가득 찼다. 검은색 차도르를 입은 채 그의 사진을 들고 울부짖는 여성들도 외신에 다수 포착됐다. 반면 일부 젊은층이나 2022년 9월 히잡 미착용을 이유로 의문사한 마흐사 아미니의 고향 사케즈 등에서는 그의 죽음을 반기며 불꽃을 터뜨리는 모습이 보였다고 가디언 등이 전했다.

20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참석한 미국 등 각국 대표들은 라이시 대통령을 추모하는 묵념을 했다. 반면 이스라엘 측은 “안보리가 ‘학살자’를 애도했다”고 반발했다.

이란 안팎의 관심은 절대 권력을 보유한 하메네이의 후계 구도에 쏠린다. 뉴욕타임스(NYT),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은 그간 공식 직책이 없었음에도 하메네이의 ‘돈줄’로 꼽히는 국영기업 세타드 등을 관리했던 차남 모즈타바의 존재감이 커졌다고 진단했다.

다만 이슬람혁명의 이유가 ‘세습 왕조 타파’였던 만큼 하메네이가 아들에게 권력을 물려줄 경우 심각한 반발과 권력 투쟁이 뒤따를 수 있다. 하메네이는 표면적으로는 지난해 “권력 세습은 반(反)이슬람적”이라고 발언했다. 그러나 경제난 등에 따른 국민 불만이 가속화하면 자신과 지지 세력의 안위를 위해서라도 세습을 시도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성직자 아라피는 모즈타바에 비해 대중적 인지도가 낮지만 종교계에 영향력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블룸버그통신은 “하메네이가 라이시 대통령만큼 충성심이 강하면서도, 본인을 드러내지 않는 후계자를 찾기 쉽지 않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홍정수 기자 hong@donga.com
워싱턴=문병기 특파원 weappon@donga.com
#이란#대통령 헬기 추락사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