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은 김씨가 워낙 많다 보니 매우 놀랄 일이 아니지만 외국인에게는 혼란을 주기 충분한 조합이었습니다.
그런데 사실 김씨는 한국뿐만 아니라 국제축구연맹(FIFA) 월드컵 본선에서도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성(surname)입니다.
이 42명 중 34명(81%)이 한국 선수였고 나머지 8명은 북한 선수였습니다.

Kim 다음은 ‘Lee’로 33명이었습니다. 한국에서 이씨가 성을 로마자로 쓸 때 흔히 선택하는 방식입니다.
Lee씨는 27명이 한국 유니폼을 입고, 4명은 북한 유니폼을 입고 월드컵 무대를 밟았습니다.
암산이 빠른 분이라면 2명이 비었다고 생각하셨을 겁니다.
나머지 2명은 잉글랜드 대표 롭 리(56)와 프랜시스 리(78)였습니다.
이어 곤살레스(27명), 로드리게스(22명), 실바(21명) 가문에서 20명이 넘는 선수를 월드컵 무대로 보냈습니다.

왕씨 대부분은 중국에 사는데 중국이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 게 2002년 한일 대회 딱 한 번뿐이라 생긴 일입니다.
전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은 성 씨인 Li씨 가운데는 리웨이펑(李瑋峰·44)과 리톄(李鐵·45)가 한일 월드컵에 출전했습니다.
세 번째로 많은 성 씨는 ‘Zhang’인데 역시 장언화(張恩華·1973~2021) 한 명만 월드컵 무대를 밟았습니다.
월드컵에 한 번이라도 출전한 적이 있는 성씨는 총 6560개고 이 중 5749개(87.6%) 성씨는 딱 1명만 월드컵 본선 무대를 밟았습니다.

월드컵 출전 선수 가운데 가장 흔한 이름(first name)은 호세(79명)였고 이어서 △카를로스 70명 △루이스 57명 △후안 53명 마리오 47명 순서였습니다.
성과 이름이 아예 똑같은 경우는 이번 한국 대표팀 정우영을 비롯해 총 77쌍이 있었습니다.
그밖에 한국 대표팀에서는 김재성(39)과 이재성(30), 김지성(1924~1982)과 박지성(41)은 성은 달라도 이름은 같았습니다.
포르투갈어 문화권에서는 ‘이름 + 성’ 조합 대신 애칭을 씁니다.
가장 많은 선수가 선택한 애칭은 다닐루(Danilo)로 3명이었습니다.
황규인 기자 kini@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