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장공유
공유하기
뉴시스|국제

美 올 1분기 성장률 전망치 4.2%→3%로 하락

입력 2022-01-17 11:22업데이트 2022-01-17 11:23
읽기모드 글자크기 설정 레이어 열기 뉴스듣기 프린트
글자크기 설정 닫기
오미크론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확산과 인플레이션 영향으로 미국 올해 경제성장 전망이 어두워지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SJ은 자체 조사결과를 인용해 이달 초 올해 1분기 성장률 전망치를 3%로 발표했다. 이는 지난해 10월 조사에서 4.2%를 발표했던 것보다 1%포인트 이상 낮은 수치다.

7%에 달하는 인플레이션과 공급망 제약, 오미크론의 빠른 확산 등이 맞물리면서 올해 전체 성장률 전망치는 지난해 10월 3.6%에서 3.3%로 하향 조정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fA)의 수석 경제분석가 린 리저는 “경제는 인플레이션 기대가 기업, 소비자, 근로자들의 마음 속에 어떻게 자리잡기 시작하는지 여부에 따라 중대한 전환점을 맞는다”고 설명했다.

고용주들은 노동력 부족에 더 많은 직원들을 채용하기 위해 더 높은 임금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향후 몇 달 동안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경제학자들은 시간당 평균 수입이 지난해 6월에 비해 4.9%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올해 말까지는 전년 대비 4.5% 수준으로 소폭 냉각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다만 앞으로 2년 동안 4%대 임금 인상률이 이어질 것으로 봤다.



치솟은 인플레이션은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이 경기 침체를 무릅쓰고 금리를 인상하도록 만들었다.

그러나 경제학자들은 연준이 현재 급상승하는 물가를 따라잡을 수 있을만큼 빠르게 금리를 올리지 못할 위험에 처해 있다고 말한다.

그랜트손튼 회계법인의 수석 경제분석가 다이앤 스웡크는 “연준이 인플레이션을 쫓는 것은 수십년 만에 처음”이라며 “가장 큰 위험은 연준이 현재의 인플레이션 수준보다 더 빠르게 금리를 인상함으로써 패닉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참여자의 3분의 2는 연준이 오는 3월15~16일 예정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를 인상하고 올해 안에 계속 인상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들 중 절반 이상은 올해 세 차례 금리 인상을 전망했고 3분의 1 가까이는 세 차례 이상을 예상했다.

ING 수석 국제 경제분석가 제임스 나이틀리는 “운송 운임이 극도로 높아지고 항만에 쌓인 재고가 상당하다. 아시아의 코로나19 제로 정책이 주요 제약요인이다. 이는 앞으로 상당 기간 수요가 가용 공급을 앞지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경제학자의 절반 이상은 적어도 올 하반기까지는 공급망 대란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고, 3분의 1은 2023년 이후까지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WSJ의 조사는 이달 7일부터 11일까지 69명의 기업, 학술, 금융 경제분석가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서울=뉴시스]

당신이 좋아할 만한 콘텐츠
댓글 0
닫기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