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서독, 통합을 넘어 융합 “이젠 美에 NO라 할수있다”

  • Array
  • 입력 2010년 9월 20일 03시 00분


코멘트

‘통독 20년’ 경험에서 배운다

“일본인? 한국인?”

독일 통일 20주년을 보름여 앞둔 17일 오후 독일 베를린의 브란덴부르크 문 앞. 60대 할아버지가 구(舊) 소련군 제복을 입은 채 소련 깃발을 들고 서 있다. 이름 밝히기를 거부한 그는 분단 시절의 이데올로기를 재빨리 돈벌이 수단으로 바꿨다. 관광객과 함께 사진을 찍어주는 대가로 0.5∼1유로를 받는다. 하루 수입은 10∼50유로(약 1만5000∼7만6000원). 그는 기자가 한국인이라고 말해주자 한국어 인사말을 물었다. ‘안녕’이라고 알려주자 이를 몇 번씩 따라 하며 친밀감을 드러냈다. 관광객 맞춤형 마케팅이다.

독일 통일 이전 ‘분단의 상징’이던 이곳은 이제 ‘민주주의와 자본주의의 상징’으로 자리 잡았다. 수백 명의 관광객이 붐비는 가운데 다른 한쪽에서는 소수민족 권익 쟁취를 위한 시위가 열리고 있다. 요즘엔 다양한 생활 관련 시위도 여기서 열린다. 초병의 감시만 가득했던 분단시절의 냉기는 찾기 어렵다.

하루 전인 16일 방문한 서독 바이에른 주와 동독 튀링겐 주 사이의 경계선. 동독인이 서독으로 탈출하는 것을 막기 위해 나무를 모두 베어 황량한 황토선이었던 이곳은 이제 생기 넘치는 연초록 생태 숲으로 바뀌었다. 동서독 양쪽에서 전나무 씨가 날아들어 20년 만에 키가 양옆의 원래 숲과 거의 비슷할 만큼 자랐다. 분단선은 이제 양쪽의 짙은 초록색 전나무 사이의 연초록 띠처럼 보인다. 통일 이후 독일은 1393km의 경계선 철망과 130만 개에 이르는 지뢰만 제거했을 뿐 나머지는 모두 자연의 복원력을 믿고 그대로 놔뒀다. 20년이 지난 지금 동서독의 자연은 스스로 융합을 이뤄가고 있다.

경제력 격차 해소를 통한 동서독 주민의 융합도 점차 목표치에 가까워지고 있다. 통독 직전 3∼4배에 이르렀던 동서독 소득 격차는 최근엔 80% 안팎까지 올라왔다. 서독 기준으로 20∼25% 수준이었던 동독 지역의 생산성은 최근 75∼80%에 이르고 있다. 2∼3배에 이르렀던 실업률 역시 최근엔 격차가 점차 줄고 있다.

17일 독일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문 앞에서 60대 할아버지가 옛 소련군 제복 차림으로 소련 국기를 들고 서 있다.그는 브란덴부르크 문을 찾아온 관광객을 상대로 사진을 함께 찍어주는 대가로 돈을 받아 생계를 유지한다. 베를린=하종대 기자 orionha@donga.com
17일 독일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문 앞에서 60대 할아버지가 옛 소련군 제복 차림으로 소련 국기를 들고 서 있다.그는 브란덴부르크 문을 찾아온 관광객을 상대로 사진을 함께 찍어주는 대가로 돈을 받아 생계를 유지한다. 베를린=하종대 기자 orionha@donga.com
“독일은 이제 미국에 ‘노’라고 말할 수 있다.”

17일 독일 외교부에서 만난 카르스텐 포크트 전 독일-소비에트프렌드십 그룹 의장은 “과거 독일은 미국이 어떤 얘기를 하더라도 ‘예스’만 했지만 이제는 그렇지 않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젠 미국이 올바른 일을 할 때만 ‘예스’를 한다는 것이다. 그는 “독일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와 유럽연합(EU), 그리고 국제무대에서 주도적 역할을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통일 이후 달라진 독일의 위상이 느껴지는 대목이다. 경제적 성공과 내적 통합을 토대로 몸집을 튼실하게 가꾼 통일 독일은 이제 세계를 향해 웅비하며 자신만의 목소리를 내기 시작한 것이다.

물론 독일 내에서 이런 움직임에 대한 경계의 목소리도 있다. 또 동서독 주민 사이의 심리적 갈등 역시 여전히 존재한다.

베를린=하종대 기자 orionha@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