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AI데이터센터 세워… 4번째 ‘퀀텀 점프’ 할 것”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6월 23일 03시 00분


코멘트

유화-이통-반도체 이은 새 도전

SK그룹이 올해 인공지능(AI)을 앞세워 네 번째 ‘퀀텀 점프’(대도약)에 나서겠다고 22일 밝혔다. 1953년 창업 이후 1980년 석유화학, 1994년 이동통신, 2012년 반도체에 이은 그룹의 네 번째 미래 먹거리를 제시한 것이다.

이날 SK그룹에 따르면 AI 분야 중에서 추진 속도가 빠른 것은 AI 데이터센터다. SK그룹은 20일 세계 1위 클라우드 업체 아마존웹서비스(AWS)와 계약하고 울산에 하이퍼스케일 AI 데이터센터 건립을 공식화했다.

AI 서비스 수요가 급증하면서 이를 뒷받침하는 데이터센터 확충이 각국의 핵심 경쟁력으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전 세계적으로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SK그룹은 이러한 상황에서 AI 반도체 제조 기술과 데이터센터 운영 노하우, 전력 인프라 구축 등 그룹 내 각 계열사가 갖춘 핵심 역량을 활용하면 국내 AI 데이터센터 분야를 선점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투자에 나섰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지난해 11월 SK AI 서밋에서 “대한민국이 AI 시대에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AI 인프라에 대한 투자가 필수”라며 “SK그룹은 반도체부터 에너지, 데이터센터 구축·운영, 서비스 개발까지 가능한 전 세계에 몇 안 되는 기업”이라고 강조했다.

AWS, SK 인프라-기술-운영노하우 믿고 손잡아


SK, 4번째 ‘퀀텀 점프’
2027년부터 AI-클라우드 서비스

글로벌 컨설팅 업체 맥킨지에 따르면 전 세계 데이터센터 수요는 2023∼2030년 연평균 최대 22%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 중에서도 AI 데이터센터 수요가 연평균 33% 성장할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국제 통계 사이트 스태티스타에 따르면 지난해 3월 기준 한국이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센터는 43개뿐이다. 미국(5381개), 중국(449개), 일본(219개) 등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다.

AI 데이터센터 구축이 어려운 이유는 AI 반도체 외에 전력 인프라, 냉각 기술 등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여기에 이를 총망라하는 운영 노하우도 필수다.

SK그룹은 SK하이닉스의 고대역폭메모리(HBM) 등 반도체 기술력, SK텔레콤·SK브로드밴드의 데이터센터 노하우, SK가스·SK멀티유틸리티의 전력 인프라 등 각 계열사의 역량 결집을 내세우고 있다. 여기에 SK이노베이션의 에너지저장장치(ESS), SK엔무브의 액침냉각 기술 등이 더해지면 안정적인 AI 데이터센터 운영이 가능할 것이란 게 SK그룹의 판단이다.

세계 1위 클라우드 사업자인 AWS가 SK그룹과 손을 잡은 것도 이 같은 종합적인 역량을 높이 평가했기 때문이란 분석이 나온다. SK그룹과 AWS는 2027년부터 15년간 데이터센터 건설과 네트워크 운영, 반도체 공급망, 에너지 인프라 등 각사의 장점을 활용해 AI·클라우드 환경을 제공할 계획이다.

#SK그룹#AWS#AI 데이터센터#AI 서비스#전력 인프라#퀀텀 점프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