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자체개발 추론 AI 공개… “中딥시크와 맞먹어”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3월 19일 03시 00분


“매개변수 320억개… 딥시크의 5%”
‘2025 수능 수학영역’ 94.5점 등
수학-과학 해결 능력 다른 AI 앞서
“美中과 경쟁 가능한 국내 첫 모델”

LG 인공지능(AI)연구원이 국내 최초로 자체 개발한 추론 AI ‘엑사원 딥’을 공개했다. LG AI연구원은 17∼21일(현지 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새너제이에서 열리는 엔비디아의 연례 개발자 콘퍼런스(GTC)에 참가해 엑사원 딥을 소개한다고 18일 밝혔다.

● 국내 첫 자체 추론 AI

LG AI연구원은 엑사원 딥의 지향점을 ‘에이전틱 AI’로 제시했다. 에이전틱 AI는 스스로 가설을 세우고 추론하는 과정에서 자율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AI를 의미한다. 영화 아이언맨에 나오는 인공지능 비서 ‘자비스’가 궁극적인 에이전틱 AI의 모습이다.

에이전틱 AI를 구현하려면 자체 추론 AI 개발이 필수다. 현재 미국 오픈AI와 구글, 중국 딥시크와 알리바바 등 소수 기업만 자체 추론 AI를 개발하고 있다. LG AI연구원은 “엑사원 딥은 이들과 경쟁할 수 있는 국내 첫 모델”이라고 강조했다.

LG AI연구원은 엑사원 딥을 공개하며 ‘오픈소스’ 방식을 택했다. 오픈소스 AI 플랫폼인 ‘허깅 페이스’에 접속해 엑사원 딥을 다운받아 사용해 볼 수 있다. 소프트웨어 개발에 필요한 소스코드를 누구나 열람할 수 있도록 공개한 것이다.

오픈소스 방식을 택하면 누구나 소스코드에 접근할 수 있는 만큼 집단지성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 제품 개발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저렴한 비용으로 뛰어난 AI를 개발해 세계 시장에 충격을 안긴 딥시크도 오픈소스 방식을 택했다. 반대로 소스코드를 공개하지 않는 방식은 ‘폐쇄형’이라고 부른다. 오픈AI의 챗GPT가 대표적인 폐쇄형 AI다.

● 딥시크보다 경량화하고도 비슷한 성능

LG AI연구원이 공개한 ‘엑사원 딥 32B’는 매개변수가 320억 개로 딥시크 R1(매개변수 6710억 개)의 5% 정도다. 하지만 AI가 발휘하는 성능은 비슷한 것으로 측정됐다. 매개변수는 뇌에서 뉴런을 이어주는 정보 전달망 시냅스와 비슷한 역할을 한다. 많을수록 AI 성능이 좋아질 수 있지만 지나치게 많으면 AI의 경제성, 실용성이 떨어져 적정량으로 우수한 성능을 내는 게 관건이다.

LG AI연구원에 따르면 엑사원 딥 32B는 수학, 과학 문제 해결 능력이 우수하다. 엑사원 딥 32B는 수학 문제 해결 능력 평가 지표인 ‘MATH-500’에서 95.7점을 받았다. 과학 문제 해결 능력을 평가하는 ‘GPQA 다이아몬드 테스트’에서도 66.1점을 받아 매개변수 규모가 유사한 추론 AI 모델들을 앞섰다. 한국 기업이 개발한 AI인 만큼 한국어에 특화돼 있다는 것도 장점이다. 엑사원 딥 32B는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 영역에서 94.5점으로 구글, 딥시크, 알리바바의 추론 AI보다 높은 점수를 획득했다. 선택과목(확률과 통계, 미적분, 기하)에서도 모두 1등급 기준에 들었다.

LG AI연구원은 엑사원 딥 32B와 함께 개발한 경량 모델 ‘엑사원 딥 7.8B’, 온디바이스 모델 ‘엑사원 딥 2.4B’도 공개했다. 7.8B 모델은 매개변수를 32B 모델의 24% 정도로 줄였지만, 성능은 95%까지 유지하는 것으로 측정됐다.

온디바이스 모델은 외부 서버와 연결하지 않고 기기 내부에서 데이터를 처리해 보안성 측면에서 강점이 있다. 시장에서는 스마트폰과 자동차, 로봇 등 여러 산업에서 온디바이스 모델이 빠르게 확산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LG 인공지능(AI)연구원#추론 AI#엑사원 딥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