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소비자물가, 사상 첫 마이너스…한국 경제 ‘디플레이션의 늪’ 우려

  • 동아일보
  • 입력 2019년 9월 3일 16시 04분


코멘트
동아일보DB
동아일보DB
8월 소비자물가가 사상 처음 하락(―0.04%)하면서 한국 경제에 ‘디플레이션’ 공포가 커지고 있다. 상품과 서비스 등 전반적인 물가 하락세로 가계와 기업이 소비와 투자를 미루면서 일자리가 줄고 그 결과 소득 감소와 소비 위축이 장기화하는 불황을 우려하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당장 디플레이션 가능성은 크지 않지만 사상 초유의 저물가로 경기 회복이 지연될 수 있다고 경고한다.

기획재정부는 3일 지난달 소비자물가 하락은 농축수산물과 석유류 가격 안정에 따른 공급 측면 요인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기상 여건이 좋고 도축한 가축이 늘어 농축수산물 가격이 작년 대비 7.3% 내렸다는 것이다. 국제유가 하락세와 정부의 유류세 인하 정책으로 석유류 가격도 6.6% 떨어졌다.

기재부는 유류세 인하, 건강보험 보장 확대, 무상급식 등 정책 효과로 지난달 물가 상승률이 0.2%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분석했다. 농산물과 석유류 가격 하락, 정책 효과 등 공급 측면 요인으로 물가 상승률을 0.74%포인트 끌어내렸다는 것이다. 이 같은 일시적 요인을 제외하면 물가상승률이 1%대 초중반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정부는 보고 있다. 실제 계절적 영향을 받는 농산물과 석유류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지난달 0.9% 올랐다.

하지만 수출입 물가를 포함한 종합 물가지수인 국내총생산(GDP) 디플레이터가 올 2분기(4~6월)까지 3개 분기 연속 마이너스를 보이면서 디플레이션 우려가 커졌다. 국제통화기금(IMF)은 2년 연속 물가가 하락하면 디플레이션으로 본다.

물가가 내리면 싼 가격에 물건을 살 수 있어 좋을 것 같지만 지금처럼 경기가 나쁠 때는 수요를 위축시키는 부작용이 더 클 수 있다. 상대적으로 돈의 가치가 오르면서 소비자는 소비를 미루고, 재고가 쌓인 기업은 투자와 고용을 줄인다. 저물가가 소비 감소와 실업을 부르고 다시 물가 하락과 경기 침체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반복되는 것이다.이 때문에 디플레이션은 물가가 오르는 인플레이션보다 더 위험하다는 분석이 많다. 1990년대 일본도 디플레이션 악순환에 빠져 장기 불황을 겪었다.

김용범 기재부 1차관은 이날 거시정책협의회에서 “최근 물가 상승률이 낮아진 건 공급 측 요인의 일시적 변동성 확대 때문”이라며 디플레이션 상황은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윤면식 한국은행 부총재도 “내년 이후 1%대로 (상승률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한다”며 디플레이션을 우려할 상황은 아니라고 했다.

전문가들은 공급 측면 못지않게 경기 침체로 수요가 줄면서 물가가 하락하고 있다고 본다. 의류비, 차량 및 가전제품 구입비, 교육비 등 근원물가도 1% 미만의 낮은 성장률을 이어가고 있다는 점이 이를 뒷받침한다. 올 들어 지난달까지 근원물가가 1% 이상 오른 건 1월, 2월, 7월 세 번뿐이었다. 대내외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경기가 더 나빠질 수 있다는 우려 역시 저물가에 따른 위험을 부추기는 요인이다. 이날 한은이 2분기 GDP 성장률을 기존 속보치보다 0.1%포인트 낮춘 1.0%로 조정하는 등 올해 연간 성장률 전망치 2.2% 달성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김소영 서울대 경제학과 교수는 “내년에 경제가 더 안 좋아지면 그만큼 물가 하방압력이 커질 것”이라며 “정부는 경제 활력을 살릴 근본적인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했다.

:: 디플레이션(Deflation) ::
국제통화기금(IMF)에 따르면 물가 상승률이 2년 이상 마이너스(―)를 보이는 상태를 말한다. 가계와 기업이 소비와 투자를 미루면서 경기 하락세가 가팔라지는 악순환이 이어진다.

주애진 기자 jaj@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