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배길 낙심했던 茶山… 풍요한 집터 만나니 저술까지 多産이로구나

  • 동아일보
  • 입력 2022년 7월 2일 03시 00분


코멘트

[여행이야기]다산의 자취가 밴 강진
수국이 활짝 핀 다산의 첫 유배지
강진에 관광 활력 가져온 가우도
월출산 운치 가득 월남사지와 백운동

소의 멍에처럼 생긴 가우도(駕牛島)는 강진읍을 풍요롭게 해주는 명당으로 알려져 관광명소로 부상 중이다. 해안가 트레킹 코스와 타워전망대(산 정상 건물)의 해상 풍경, 바다를 건너가는 집트랙 등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소의 멍에처럼 생긴 가우도(駕牛島)는 강진읍을 풍요롭게 해주는 명당으로 알려져 관광명소로 부상 중이다. 해안가 트레킹 코스와 타워전망대(산 정상 건물)의 해상 풍경, 바다를 건너가는 집트랙 등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배부른 황소가 한가로이 엎드린 채 되새김질을 하고 있는 와우형(臥牛形) 터에서 지내봤다. 다산 정약용(1762∼1836)이 전남 강진에서 첫 유배 생활을 했던 ‘사의재’ 옆 한옥체험관, 바로 황소 얼굴에 해당한다는 터다. 이름 그대로 넉넉한 터 기운 때문일까. 다산의 자취가 밴 강진을 여행하는 동안 몸이 평안해지고 마음은 여유로웠다.》

○ 강진 황소 명당에서 기운 차린 정약용
다산 정약용이 강진에서 18년 유배 생활을 처음시작한 ‘사의재’.
다산 정약용이 강진에서 18년 유배 생활을 처음시작한 ‘사의재’.
221년 전인 1801년 겨울, 전남 강진 땅을 밟은 다산은 깊은 나락에 빠져 있었다. 임금(정조)의 총애를 한 몸에 받다가 졸지에 ‘천주쟁이’라는 역적으로 낙인찍혀 아무도 그를 반겨주지 않았다. 강진읍내 동문마을에 사는 주막집 주모만이 다산에게 음식을 내주었다. 허겁지겁 아욱국에 밥을 말아먹는 다산을 가엽게 여긴 주모는 골방까지 내주며 머물도록 했다.

주모는 지혜도 깊었다. 다산에게 “어찌 그냥 헛되이 사시려 하는가? 제자라도 가르쳐야 하지 않겠는가?”라는 비수 같은 충고를 던졌다. 다산은 정신이 번쩍 들었다. 그가 마음을 다잡아 후학을 양성하며 ‘경세유표’ 등 위대한 실학 저서들을 집필하게 된 것은 주막집에서의 이런 사연 때문이라고 전해진다.

다산은 주모와 그 외동딸의 보살핌을 받으며 4년간 머문 주막집 당호를 ‘사의재(四宜齋)’라고 지었다. ‘생각과 용모와 언어와 행동, 네 가지를 올바로 하는 이가 거처하는 집’이라는 뜻이다. 스스로를 경계하는 문구이기도 했던 ‘사의재’는 후대에 역사적 명소로 탄생하게 된다.

강진군이 오랜 고증 끝에 복원해낸 사의재는 다산과의 인연, 고풍스러운 초가, 수국이 활짝 핀 연못 등으로 사람들이 즐겨 찾는 답사 코스가 됐다. 사의재 터에서 흘러나오는 풍요로운 지기(地氣)는 주막집 주모의 넉넉한 마음씨까지 전해주는 듯하다. 사의재 바로 옆으로는 숙박이 가능한 사의재 한옥체험관(9개 객실)이 운영되고 있다.

사의재를 낀 동문마을에는 명당임을 알려주는 표식이 있다. 한옥체험관 입구에 있는 ‘동문샘’이라는 우물이다. 푯말은 샘을 풍수적으로 설명해놓았다. 이에 따르면 보은산 우두봉(牛頭峰) 자락 아래 강진읍성으로 둘러싸였던 강진읍은 전체적으로 와우형 터에 해당한다. 읍성 4대문 중 하나인 동문 쪽 샘(東門井), 즉 바로 이곳은 소의 왼쪽 눈이라는 설명이다. 소의 오른쪽 눈인 서문 쪽 샘(西門井·서성리)도 있었지만 지금은 없어졌다.

다산은 1805년 겨울 사의재를 떠나 우두봉 기슭의 고성사(高聲寺·당시는 고성암)에서 머물게 된다. 친분을 맺은 백련사 주지 혜장의 배려 덕분이었다. 강진 시내가 굽어보이는 이곳에서 다산은 ‘보은산방’이란 간판을 내걸고 장남(학연)과 강진읍 6제자를 대상으로 ‘주역’ 등 학문을 가르쳤다. 사의재에서 차로 10여 분 거리의 고성사는 현재 ‘수국 길’ 산책 코스로 유명하다. 그런데 현지 사람들은 고성사의 저녁 종소리(高庵暮鐘·고암모종)를 더 높게 친다. 고성사가 황소의 귀밑 혹은 목방울을 매다는 부위에 해당하는데, 이곳에서 소리가 울려 퍼져야 강진이 발전한다는 믿음 때문이라고 한다. ‘높은(高) 소리(聲)’라는 뜻의 고성사는 실제로 ‘소리 명당’으로도 널리 알려졌다. 남도의 판소리 하는 사람들에게는 유명한 득음(得音) 장소 중 하나로 꼽혔다.

다산은 겨울 한철을 고성사에서 보낸 후 제자의 집을 전전하다가 1808년 만덕산 자락 아래 다산초당(도암면 만덕리)에 정착하게 된다. 그는 다산초당에서 ‘목민심서’ ‘흠흠신서’ 등 500여 권의 방대한 저서를 완성했다. 사실 다산은 발복(發福)을 기원하는 풍수지리를 강하게 부정했던 인물이다. 그런 그가 와우형 명당에서 기운을 차리고 마침내 자신의 실학사상을 집대성했다는 점은 역설적이다.
○가우도 개발과 황소의 멍에

강진읍의 주요 건물들은 풍수적으로 ‘소 판’으로 배치됐다고 말할 만하다. 강진군청과 강진경찰서는 소의 콧등에 해당하고, 강진군 도서관은 소의 콧구멍 명당으로 불려왔다. 강진읍 들머리에 있는 강진의료원과 강진고교 일대는 예전부터 소의 ‘혀 끝’이란 뜻의 ‘새끝’이라고 불렸다. 또 옛 이름이 초지(草地)인 목리마을은 소가 풀을 뜯어 먹는 장소라고 한다.

강진 풍수의 백미는 가우도(駕牛島)에 있다. 바닷물이 강진읍 쪽으로 깊숙이 들어온 강진만의 섬 가우도는 지형이 소(牛)의 멍에(駕)처럼 생겼다. 멍에는 수레나 쟁기를 끌기 위해 마소의 목에 얹는 나무 막대다. 그러니 강진읍내에 한가롭게 누워 있는 황소를 움직이게 하기 위해서는 가우도의 멍에를 씌워야 한다는 논리도 생겨난다.

2013년 육지와 가우도를 잇는 다리가 준공됐다. 대구면 저두리와 이어지는 청자다리(438m)와 다산초당이 있는 쪽인 도암면 망호리와 이어지는 다산다리(716m)가 생김으로써 가우도는 강진군의 대표적 관광 명소로 부상했다. 해상보도교 2개가 생김으로써 가우도의 멍에가 활짝 펴진 형국이 되고, 이어 멍에가 씌워진 강진읍 황소가 벌떡 일어나 밭을 갈기 시작했다는 풍수적 해석도 뒤따랐다.

높이 25m인 가우도 청자타워에서 집트랙을 타면 1분여 만에 바다를 건너 육지에 도착한다.
높이 25m인 가우도 청자타워에서 집트랙을 타면 1분여 만에 바다를 건너 육지에 도착한다.
실제로 가우도를 찾는 관광객들이 늘어났다. 가우도 해안을 따라 펼쳐지는 덱과 후박나무, 곰솔이 우거진 숲길을 이용해 섬 한 바퀴를 돌아보는 일명 ‘함께해(海) 길’(2.5km)은 트레킹 코스로 인기가 높다. 또 섬의 정상부에 설치된 청자타워까지 태워주는 모노레일과 타워 전망대에서 펼쳐지는 해상 풍경도 핫플레이스다. 높이 25m 청자타워에서 바다를 훌쩍 뛰어넘어 저두리로 건너가는 ‘하늘길’(집트랙)은 짜릿함을 선사한다.
○강진 월출산의 숨겨진 보물
월남사지 삼층석탑과 월출산이 절묘한 조화를 이루고 있다.
월남사지 삼층석탑과 월출산이 절묘한 조화를 이루고 있다.
강진읍 서쪽, 즉 월출산 남쪽 산자락 아래 성전면의 월남사지 일대도 강진의 빼놓을 수 없는 비경이다. 최근 완전히 복원된 월남사지 삼층석탑(보물 제298호)으로 유명한 월남사는 고려 진각국사(1178∼1234)가 차를 마시며 수행했던 절로 알려져 있다. 16세기 전후에 폐사된 이후 현재 3만3057m²(약 1만 평) 규모에 달했던 절터를 복원하고 있다.

삼층석탑 주변에 형성된 터의 기운도 출중할뿐더러 석탑과 어우러지는 월출산의 풍경은 북쪽 영암에서 바라다본 월출산 경치와는 또 다른 맛을 자아낸다. 산에도 앞면과 뒷면이 있다. 영암 쪽 월출산은 산의 뒷면으로 장중하고 무겁게 느껴진다면 강진 쪽 월출산은 산의 앞면으로 밝고 따뜻한 느낌을 받게 된다.

강진 차밭에서 바라본 월출산 남쪽 자락. 북쪽의 영암 월출산과는 다른 느낌을 받을수 있어 사진 촬영 명소로 소문났다.
강진 차밭에서 바라본 월출산 남쪽 자락. 북쪽의 영암 월출산과는 다른 느낌을 받을수 있어 사진 촬영 명소로 소문났다.
월남사지 주변의 백운동 원림, 강진 차밭(다원) 등도 빠뜨릴 수 없는 곳이다. 백운동 원림은 조선 중기 이담로(1627∼1701)가 꾸민 별서정원이다. 자연과 인공이 조화를 이룬 이곳은 담양 소쇄원, 완도 부용동과 함께 호남 3대 별서정원으로 꼽힌다. 백운동원림은 조선의 선비들에게도 인기 있는 방문지였다. 다산 역시 1812년 이곳을 다녀간 후 백운동원림의 12승경을 노래한 시문인 ‘백운첩’을 남겼다. 현재의 정원은 백운첩에 남겨진 ‘백운동도(白雲洞圖)’를 바탕으로 재현해놓은 건물이다.

‘비밀의 정원’ 백운동원림의 대나무 숲길.
‘비밀의 정원’ 백운동원림의 대나무 숲길.
안내판이 없으면 진입하기가 힘든 ‘비밀의 정원’ 백운동원림을 둘러본 후 강진다원의 유명한 차밭 풍경을 즐기거나 ‘이한영차문화원’에서 차 한잔 마시는 것으로도 여행의 한 코스가 될 수 있다. ‘이한영차문화원’은 백운동원림 5대 주인이자 다산의 가장 어린 제자 이시헌의 후손(이현정)이 차를 만들고 다도 교육을 하는 곳이다. 이곳에서 하룻밤 묵으면서 월출산 정기도 쬘 수 있다.


글·사진 강진=안영배 기자·철학박사 ojong@donga.com
#강진#다산#가우도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