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년 전입니다. 박사 논문을 쓰며 보던 문학이론서에 사기(史記) 이야기가 많이 나왔어요. ‘사기는 역사서요 문학서이며 철학서다’라는 말도 들었고요. 그런데 한국에 완전히 번역된 게 없어 안타까웠습니다.”
전화선 너머 들려오는 목소리가 낭랑했다. 사마천의 ‘사기’ 중 ‘열전’과 ‘본기’ 편을 번역한 데 이어 최근 ‘세가’를 번역한 김원중 건양대 중국언어문화학과 교수(47·사진). 김 교수의 사기 번역에 대한 열정은 주변 사람이면 누구나 다 알 정도다. 매일 오전 2시 반에서 3시 사이에 일어나 수업 시간을 뺀 모든 시간을 번역에 집중한다. 일요일에도 쉬지 않고 집 근처 도서관에서 관련 서적을 보고 교정 작업을 한다.
김 교수는 ‘사기’를 “인간의 본질을 다룬 책 중 가장 뛰어나다”고 평가했다. 중국 전한(前漢) 시대 사마천이 중국 역사 속 다양한 인물의 면면을 다룬 통사 ‘사기’는 본기 12편, 열전 70편, 세가 30편, 표 10편, 서 8편 등 총 130편으로 이뤄졌다. 본기는 제왕, 열전은 신하의 이야기를 다룬 데 비해 세가는 30명의 제후를 다뤘다. 사마천은 공자를 제후만큼 영향력이 큰 인물로 평가해 세가에서 다뤘다.
김 교수는 “흉노족에 투항한 한나라의 장군 이릉을 편들다 거세형인 궁형(宮刑)을 당한 사마천은 자신이 겪은 고뇌와 번민을 글 속에 형상화했다”며 “아마도 고통을 이겨내고 역사에 큰 획을 그은 평범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다뤄 읽는 사람들에게 역경을 극복할 힘과 용기를 주려 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세가’ 편에 있는 제후들의 흥망성쇠가 그런 이야기다. 그는 “집 잃은 개라고 불렸던 공자, 머슴살이를 하다 ‘왕후장상의 씨가 따로 있냐’며 봉기해 왕이 된 진섭, 19년간 이 나라 저 나라 떠돌다 진(晉)나라를 세운 문공 등이 그 예”라고 말했다.
옛 사람인 사마천의 글을 현재를 사는 이들에게 전할 때 김 교수가 가장 신경 쓰는 점은 “원저자의 의도는 충실히 전하되 역자의 개입은 최소로 하는 것”이다. ‘삼국유사’ ‘정사 삼국지’ ‘한비자’ 등을 번역할 때도 마찬가지였다. 쉽게 풀어쓰는 데 골몰한 나머지 독자가 감내하며 소화해야 할 부분마저 침범하지 않기 위해서다. “원저자가 어렵게 쓰면 당연히 번역문도 어려워야 하고, 편하게 쓰면 번역도 쉬워지죠. 높은 분에게 쓰는 편지와 친구에게 쓰는 편지가 같을 수 없잖아요.” 제왕의 이야기를 다룬 ‘본기’ 편의 경우 사마천도 격식을 갖춰 절제된 표현을 썼고 왕과 제후를 보좌한 신하들의 이야기를 쓴 ‘열전’의 경우엔 부부간의 대화를 구어체 그대로 옮기기도 했다.
김 교수는 매일 글 속에서 역사 속 인물들을 만나다 보니 제자나 젊은이들에게 충고를 할 때도 사기 속 인물 이야기를 곁들인다. “뭐든 금방 포기하고 쉬운 길로 돌아가는 사람을 보면 (세가 편에 있는) 춘추전국시대 월나라의 왕 구천세가(越王 句踐世家)를 읽어보라고 권합니다. 오나라에 패배해 굴욕을 겪은 구천은 20년이 넘는 세월 동안 의지를 갖고 버텨 극복해 와신상담(臥薪嘗膽)이란 말을 남깁니다. 그처럼 결심을 굳힐 수 있는 근성과 의욕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김 교수는 다른 사람에게 조언하는 것 외에 자신이 본받을 만한 인물 역시 사기 속에서 찾는다. “소상국세가(蕭相國世家)의 소하는 유방을 도와 성을 함락했을 때 다른 장수들이 금과 비단을 챙긴 것과 달리 법령과 도서부터 거뒀어요. 인문학자로서 소하의 태도를 닮고 싶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