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 예상된 실적하락… 신사업으로 탈출구 찾는다

  • 동아일보
  • 입력 2020년 2월 4일 03시 00분


코멘트

4분기 ESS화재-경기불황 영향, 영업익 8956억 전년比 60% 급감
2001년 분사후 첫 적자 전환
글로벌 업황부진 장기화 전망에
전기차배터리 3조 추가투자 등 ‘脫석유화학’ 사업재편 움직임


국내 석유화학 업계가 최근 크게 나빠진 실적을 잇달아 공시했다. 종합화학 부문의 부진과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 때문이다. 중동 정세 불확실성, 미중 무역분쟁 심화, 수요 부진 등으로 글로벌 시장 침체가 이어지는 가운데 주요 기업들은 탈(脫)석유화학에 속도를 내고 있다. 신사업에서 탈출구를 모색하겠다는 전략이다.

3일 LG화학은 지난해 연간 영업이익이 8956억 원으로 전년보다 60.1% 감소했다고 공시했다. 2007년부터 이어온 연간 영업이익 1조 원대가 깨졌다. 지난해 4분기(10∼12월)에는 275억 원의 영업손실을 봤다. LG화학이 분기 영업손실을 낸 것은 2001년 LG생활건강, LG생명과학을 분사시킨 이후 처음이다.

LG화학의 지난해 연매출은 28조6250억 원으로 전년 대비 1.6% 증가해 사상 최대 규모를 기록했지만 석유화학 사업 부진과 3000억 원 규모로 설정한 ESS 화재 충당금이 발목을 잡은 것으로 분석된다. 전지부문 영업손실이 4543억 원에 달했다. 또 LG화학 주력 사업인 석유화학부문 영업이익도 1조4178억 원으로 전년보다 30.2% 줄었다.

국내 석유화학 업계가 호황이었던 2018년과 달리 지난해에는 미국이 값싼 셰일가스를 대량 생산하면서 ‘석유산업의 꽃’으로 불리는 에틸렌의 공급이 과잉됐다. 이 때문에 에틸렌의 t당 가격이 지난해 40%가량 떨어졌고, 석유화학부문 실적에 영향을 미쳤다. 미중 무역분쟁 등으로 인한 수요 부진도 맞물렸다.

LG화학 관계자는 “수요 부진과 공급 과잉 등이 맞물려 주요 제품의 판매가격과 원가 차이가 줄어들었고, 시황 부진이 영업이익에도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SK이노베이션은 지난달 31일 지난해 영업이익이 1조2693억 원으로 전년 대비 39.6% 줄었다고 공시했다. 매출액도 8% 줄어 49조8765억 원으로 집계됐다. 석유화학산업의 전반적인 부진 속에서 영업이익 1조 원을 수성해 그나마 선전한 것으로 평가된다. 금호석유화학도 지난달 30일 실적 발표를 통해 지난해 연간 영업이익을 3679억 원으로 공시했다. 전년보다 33.7% 줄어들었다. 주력 제품인 페놀유도체의 마진 폭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석유화학 시장은 당분간 더 먹구름이 낄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 들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산으로 중국의 공장 가동이 장기간 중단되면서 수요가 언제 살아날지 불확실하고, 글로벌 경기 회복 속도도 더딜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는 적어도 상반기까지 침체가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LG화학과 SK이노베이션 등 주요 업체들은 탈석유화학으로 사업 포트폴리오를 재편하고 있다. 기존 석유화학 제품에 대한 생산량 조절에 들어가면서 미래 먹거리 발굴에 힘쓴다는 구상이다. 수익성이 높은 사업으로 선택과 집중에 나서겠다는 것이다.

LG화학은 일찌감치 신성장동력인 2차 전지 사업을 육성한다는 방침을 세우고 전기차 배터리를 중심으로 추가 투자에 나서기로 했다. LG화학은 올해 자동차용 배터리 설비투자에 3조 원 규모의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해 투자액인 3조8000억 원에 육박한다. LG화학은 또 실적 발표 자리에서 배터리 부문 분사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해 잇달아 화재가 났던 ESS 사업에 대해선 자체 조사 결과 배터리셀에는 문제가 없었다면서 해외 사업에 집중하겠다고 했다.

SK이노베이션은 올해 배터리 사업에서 매출 2조 원을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기준으로 배터리 부문에서 영업손실(―3091억 원)이 났지만, 2022년엔 관련 사업에서 이익을 내겠다는 것이다.

임현석 기자 lhs@donga.com
#lg화학#실적 부진#신사업#석유화학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