촬영 사진 NFT로 팔고 ‘쇼트폼’ 보며 주식… 즐기며 돈버는 Z세대

  • 동아일보
  • 입력 2022년 6월 1일 03시 00분


코멘트

[Z세대가 이끄는 금융 빅뱅 ‘자이낸스’]〈2〉 재미있는 재테크 추구


대학생 정수민 씨(25)는 지난해 쇼트폼(짧은 동영상) 공유 플랫폼 ‘틱톡’에서 정보를 얻어 미국 주식 투자를 시작했다. 최근 가상자산 루나, 테라 폭락 사태도 틱톡에서 공부했다. 정 씨는 “3분 이내 동영상으로 핵심만 본 뒤 더 궁금한 게 있으면 유튜브나 기사를 찾아본다”고 했다.

국내 주식과 가상자산으로 투자에 첫발을 들인 20대 Z세대들이 최근 조각투자, 대체불가토큰(NFT) 등으로 눈 돌리며 재테크 영토를 빠르게 넓히고 있다. 재테크에서도 재미를 찾고 동영상 플랫폼을 통해 투자 정보를 얻는 등 기성세대와 확연히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다. 향후 Z세대가 경제 주축으로 올라서면 투자 지형과 공식이 바뀔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 취미로 돈 벌고, 비싸면 쪼개서 투자

필름 카메라로 사진 찍기가 취미인 이정환 씨(29)는 최근 직접 찍은 사진으로 재테크에 나섰다. 세계 최대 NFT 거래소 ‘오픈시’에서 사진들을 NFT로 발행해 팔기로 한 것이다. 이 씨는 “추억을 담기 위해 찍은 사진을 가치 있는 상품으로 만들 수 있는 데다 잘 팔리면 돈도 벌 수 있으니 일석이조”라고 했다.

‘코인 투자 열풍’을 이끌었던 Z세대들은 최근 가상자산에 이어 NFT에 눈 돌리고 있다. NFT는 블록체인 암호화 기술을 활용해 고유한 값을 부여한 디지털 자산으로, 복제나 위·변조가 불가능하다. 이 씨의 사진처럼 무형 콘텐츠들이 새롭게 가치를 인정받아 판매되면서 지난해 글로벌 NFT 거래 규모(177억 달러)는 1년 새 2배 수준으로 성장했다.


운동을 좋아하는 직장인 김민주 씨(25·여)는 매일 모바일 금융 플랫폼 ‘토스’에 들어가 만보기를 켠 뒤 1시간 정도 달리기를 한다. 토스 만보기는 걸음 수에 따라 하루 최대 140원 포인트를 준다. 김 씨는 “매일 뛰면 한 달에 3000원 정도를 모을 수 있다”고 했다. 경험을 중요시하고 본인의 취미를 재테크로 발전시키는 Z세대를 겨냥해 운동 등의 목표를 달성하면 현금이나 포인트를 주는 핀테크 애플리케이션(앱)은 점점 늘고 있다.


Z세대는 혼자 투자하기 어려운 부동산, 미술품 등을 ‘조각투자’로 사들이고 있다. 고가 자산을 1000∼10만 원 단위 지분으로 나눠 여러 명이 공동 투자하는 식이다. 직장인 홍모 씨(29)도 지난해 아트테크 플랫폼 ‘소투’와 ‘테사’에서 평소 좋아하던 앤디 워홀과 데이비드 호크니의 그림에 150만 원을 투자했다. 이 중 한 작품은 6개월 만에 팔려 13%의 수익을 올렸다. 한우, 음악저작권, 와인, 명품시계 등으로 조각투자 대상도 다양해지고 있다.

애플, 테슬라, 알파벳(구글 모회사) 등 비싼 해외 주식을 소수점 단위로 거래하는 ‘소수점 매매’ 시장도 20대를 중심으로 커지고 있다. 4월 말 현재 한국투자증권에서 해외 주식 소수점 거래를 이용한 투자자 중 20대가 38%로 가장 많았다. 아직 자산과 소득은 적지만 경제 관념이 뚜렷한 Z세대가 적은 돈으로도 수익을 올릴 수 있는 투자방법을 찾아 나선 것이다. MZ세대를 중심으로 해외 주식 소수점 거래가 인기를 끌자 9월부터 국내 주식에도 소수점 매매가 허용된다.
○ 투자도 정보도 쉽고 빠르게

Z세대는 투자 정보를 얻는 과정에서도 재미와 직관을 추구한다. 동아일보가 우리금융경영연구소에 자문해 20대 100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에서도 유튜브, 틱톡 등 영상 플랫폼을 통해 투자 정보를 얻는다는 응답자(39.7%)가 가장 많았다. 전문 서적(12.4%)이나 금융회사(5.6%)를 꼽은 20대는 적었다.

이를 반영해 금융사들의 소통 방식도 달라지고 있다. 삼성증권은 1월부터 자사 유튜브 채널에 딱딱한 투자정보 대신 재미를 강조한 1∼6분짜리 동영상을 매달 30편 이상 올린다. 이 덕분에 34세 이하 시청자 비중은 지난해 19.7%에서 올 1분기(1∼3월) 41.4%로 늘었다.

쉽고 빠른 투자를 선호하는 Z세대의 특성에 맞춰 인공지능(AI) 기반의 자산관리(로보어드바이저) 시장도 급성장하고 있다. 기존 금융사에선 고액 자산가들이 전문적 자산관리를 받을 수 있지만 ‘파운트’ ‘핀트’ ‘불릴레오’ 같은 앱에선 소액만 맡겨도 AI가 알아서 돈을 굴려 준다. Z세대 유입으로 국내 로보어드바이저 시장 규모는 2019년 말 9600억 원에서 4월 말 1조8000억 원으로 늘었다.

다만 Z세대 상당수가 ‘빚투’(빚내서 투자)로 투자에 입문해 본격적인 금리 상승기를 맞아 리스크가 커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번 설문조사에서도 20대 33%는 대출로 재테크 재원을 마련했다고 답했다.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최근 주식, 코인 시장이 급락하면서 팬데믹 이후 상승장에서 투자에 뛰어든 Z세대들이 큰 손실을 봤을 것”이라며 “Z세대는 금리 인상기를 겪어보지 않아 최근 금융 환경에 빠르게 대처하기 힘들 수 있다”고 말했다.

창업-코인 열풍에 늘어난 ‘영리치’… 공격적 투자 성향


금융자산 10억 넘는 영리치
가상자산-해외주식 투자비중 높아
‘지키는 투자’ 올드리치와 대조적




5년 전 온라인 교육 관련 스타트업을 창업한 김모 씨(32)는 최근 ‘100억 부자’가 됐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온라인 교육 플랫폼을 찾는 고객이 늘면서 회사 수익이 급증했고 김 씨의 투자 자산도 100억 원대로 불어났다.

부동산과 펀드에 주로 투자하던 김 씨는 지난해 처음 가상자산에 1억 원을 넣었다. 최근 ‘루나’와 ‘테라’ 폭락 사태로 가상자산 시장이 얼어붙었지만 오히려 코인 투자를 늘릴 계획이다. 김 씨는 “코인은 변동성이 크긴 하지만 단기 차익을 올리기에 적합하다. 장기적으로도 가치가 더 오를 것으로 본다”고 했다.

스타트업 창업이나 가상자산 투자 등을 통해 수십억 원의 자산을 축적한 20, 30대 ‘영리치(신흥 부자)’가 크게 늘고 있다. 이들은 ‘올드리치(전통 부자)’에 비해 자기 주도적이고 공격적인 투자 성향을 보였다.

지난달 30일 금융권에 따르면 삼성증권에 10억 원 이상을 맡긴 20, 30대 영리치 223명 가운데 혁신기업 종사자(18.9%), 일반 사무직(15.5%), 전문직(14.6%) 등 ‘자수성가형’이 절반을 차지했다. 가업을 승계한 이른바 ‘금수저’는 21.5%였다. 백혜진 삼성증권 SNI전략담당 상무는 “물려받은 자산은 지키는 투자를 중요시하고, 자수성가형은 공격적인 투자를 하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20대 영리치는 공격적인 주식 투자 성향을 보였다. 미래에셋증권에 10억 원 이상을 예탁한 20대 영리치 110명은 올 들어 5월 25일까지 해외 주식 가운데 ‘프로셰어스 울트라프로 QQQ 상장지수펀드(ETF)’를 가장 많이 사들였다. 이는 나스닥100지수의 하루 등락률을 3배로 쫓는 상품이다. 순매수 2위는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를 3배로 추종하는 ‘디렉시온 데일리 세미컨덕터 불 3X ETF’, 3위는 나스닥100지수를 역으로 3배 따르는 ‘프로셰어스 울트라프로 쇼트 QQQ ETF’였다.

최근 하나금융연구소가 내놓은 ‘2022 코리안 웰스 리포트’에 따르면 영리치의 21%는 비트코인 등 가상자산에 투자했다. 연구소는 설문조사를 통해 금융자산 10억 원 이상을 보유한 20∼40대 131명을 영리치로 분류했다. 반면 50대 이상 올드리치는 5%만 가상자산에 투자했다. 또 예술작품, 대체불가토큰(NFT) 같은 새로운 투자처에 투자할 의향이 있는 영리치는 47%로 올드리치(28%)보다 많았다.

이순남 대신증권 나인원 프라이빗 라운지장은 “아이디어로 돈을 번 영리치들은 눈에 보이지 않는 투자 트렌드를 읽는 데 익숙하다. 그들만의 리그에서 정보를 얻고 자기만의 확고한 기준에 따라 투자한다”고 말했다.


강유현 기자 yhkang@donga.com
이상환 기자 payback@donga.com
박민우 기자 minwoo@donga.com


#nft#쇼트폼#z세대#재테크#투자정보#z세대의 재테크#주식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