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광 빌딩에 친환경車 보급… 국내서도 탄소배출 감축 나서

  • 동아일보
  • 입력 2020년 11월 26일 03시 00분


코멘트

[그린뉴딜, 지방정부가 이끈다]<1> 서울시 ‘그린 사업’ 추진
공공 도서관에 태양광 패널 설치… 삼중창으로 에너지 효율 극대화
2035년 내연기관車 퇴출 본격화
버스-택시 등 전기수소차로 전환

서울 강동구 둔촌도서관. 건물 밖으로 빠져나가는 에너지를 줄이고 내부에서 사용하는 에너지 효율은 끌어올렸다. 태양광 패널은 신재생에너지를 생산할 뿐 아니라 옥상 정원의 그늘막 역할도 한다. 강동구 제공
서울 강동구 둔촌도서관. 건물 밖으로 빠져나가는 에너지를 줄이고 내부에서 사용하는 에너지 효율은 끌어올렸다. 태양광 패널은 신재생에너지를 생산할 뿐 아니라 옥상 정원의 그늘막 역할도 한다. 강동구 제공
서울시는 7월 그린 뉴딜 정책을 통해 2050년까지 ‘탄소배출 제로’를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온실가스 배출량을 2030년에는 2005년 배출량의 40%까지, 2040년에는 70%까지 줄이고, 2050년에는 온실가스 배출량과 흡수량이 같아 순배출량이 0에 달하는 ‘탄소중립’에 도달하겠다는 구상이다.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핵심 방안은 온실가스 감축이다. 특히 서울시의 경우 건물 부문의 감축이 필수다. 서울에서 나오는 온실가스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배출원이 건물(68.2%)이기 때문이다. 건물은 기본적으로 냉난방, 조명, 환기 등에 에너지를 사용한다. 오래된 건물일수록 에너지 효율이 떨어지는데, 서울시 건물 약 60만 동 중에서 지은 지 30년이 넘은 노후 건물은 약 44%(26만 동)에 달한다.

○ ‘그린 빌딩’으로 전환
서울시가 내세운 그린 뉴딜 정책 중 첫 번째는 ‘그린 빌딩’이다. 새로 짓거나 리모델링하는 건물들을 제로에너지빌딩(ZEB)으로 전환하는 것이 목표다. 제로에너지빌딩은 건축물에 필요한 에너지 부하를 최소화하고 신재생에너지를 생산해 에너지 소요를 줄이는 건물을 뜻한다.

1일 개관한 서울 강동구 둔촌도서관은 건물 디자인과 에너지 효율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은 모범 사례다. 보통 건물 옥상에 태양광 패널을 올릴 경우 옥상 공간을 활용하지 못하거나 보기에 안 좋다는 지적을 받는다. 이 도서관은 옥상에 시민들이 쉴 수 있는 공간을 꾸미고 그 위에 별도로 철제 구조물을 올려 태양광 패널을 설치했다. 태양광 패널이 시각적으로 거슬리는 단점을 보완할 뿐 아니라 그늘막 역할도 하게 한 것이다.

건물 내 에너지 효율을 끌어올리는 기술도 집약했다. 유리창을 일반적인 이중창이 아닌 삼중창으로 설치했고 창문 외벽에 전동 블라인드를 달아 계절에 따라 햇빛을 막거나 받아들이도록 했다. 환기할 때 열기가 빠져나가는 것을 막기 위해 최신 기술인 고효율 전열교환기도 설치했다.

그 결과 이 도서관은 한국에너지공단이 부여하는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에서 1+++를 획득하고 제로에너지빌딩 인증도 받았다. 비주거용 건물 중 1m²에서 사용하는 기본적인 에너지가 연간 80kWh(킬로와트시) 미만일 때 받는 인증으로, 국내 최고 수준이다. 이명주 명지대 건축대학 교수는 “서울에서 신재생에너지를 생산할 장소는 건물뿐”이라며 “건축 설계부터 에너지 생산과 디자인을 동시에 고민하고 지어야 기후변화 대응에 효과적일 뿐 아니라 도심 미관도 아름다워진다”고 강조했다.

제로에너지빌딩을 짓는 비용은 일반 건축물보다 대개 5∼20% 비싸다. 서울시는 그린뉴딜 사업 일환으로 어린이집과 보건소 등 오래된 공공건물의 ‘그린 리모델링’을 진행하고, 민간에서 제로에너지빌딩을 지을 때 용적률 등에서 혜택을 받도록 관련 법령 개정을 제안할 방침이다. 또 2022년부터 온실가스 배출량을 제한하는 ‘건물온실가스 총량제’도 공공건물부터 도입한다. 정수용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민간 부문에서도 제로에너지빌딩 전환이 늘어날 수 있게 인센티브를 주는 방식을 다양하게 강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 내연기관 차량 퇴출
서울시에서 건물 다음으로 온실가스를 많이 내뿜는 건 수송 부문(19.4%)이다. 시는 친환경차 보급을 늘리고 법령 개정을 추진해 내연기관 차량을 퇴출한다는 ‘그린 모빌리티’ 계획을 세웠다.

우선 관용차량과 시내버스, 택시부터 단계적으로 전기·수소차로 바꿔나갈 방침이다. 국회와 정부에 법 개정도 건의해 2035년부터는 아예 전기·수소차만 신규 등록이 가능하게 하고 2050년부터는 서울 전역에 전기·수소차만 운행할 수 있게 한다는 구상이다. 정부 차원의 내연기관 차량 퇴출 로드맵이 확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이 같은 서울시의 정책은 과감하고 선제적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이동률 서울시 환경정책과장은 “건물과 수송 부문을 바꾸지 않고는 탄소중립을 달성할 수 없어 이와 같은 정책을 내세웠다”고 설명했다.

서울시는 폐기물 감량에도 적극적으로 나선다. 폐기물 부문에서 나오는 온실가스는 서울시 전체 배출량의 6%. 서울시는 “최근 1인 가구가 증가하면서 폐기물 배출량이 늘고 있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배달 문화가 자리 잡아 폐기물은 계속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며 “2025년까지 생활폐기물을 바로 묻는 직매립을 없앨 것”이라 밝혔다. 이를 위해 폐기물을 소각하는 자원회수시설을 추가로 만들고, 기존의 자원회수시설 규모도 늘린다.

재활용(리사이클링)과 새활용(업사이클링) 산업도 지원한다. 새로 제품을 만드는 것보다 쓰던 물건을 재사용하거나 수리·수선해 새활용하면 온실가스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시는 재활용·새활용 활동을 지원하고 판매도 할 수 있는 ‘리앤업사이클플라자’를 2025년까지 25개 자치구에 하나씩 만들 계획이다.

이 외에 배출되는 온실가스는 숲과 공원을 늘려 흡수한다. 시는 2022년까지 도시숲을 만드는 등 나무 3000만 그루 심기를 진행한다. 단순한 나무 심기에서 탈피해 도심 열섬현상을 완화하는 바람길 숲, 산업단지 주변의 미세먼지를 막는 숲 등 동네별로 맞춤형 숲을 꾸린다는 설명이다.
 
강은지 기자 kej09@donga.com
#그린 사업#서울시#그린 뉴딜 정책#탄소배출 제로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