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숭이, 토끼 캐릭터로 유혹…금융사기에 1020 빠져드는 이유는

  • 동아일보
  • 입력 2020년 7월 31일 18시 06분


코멘트

직장인 A씨는 올해 초 유사금융 플랫폼 ‘몽키 레전드’ 투자에 빠졌다. 앱에서 중국 장편소설 ‘서유기’ 속 원숭이 캐릭터를 구입하면 보유 기간에 따라 큰 돈을 벌 수 있다는 친구들의 말을 듣고 귀가 솔깃했다. A씨는 앱을 다운 받고 50달러(약 6만 원)로 가장 낮은 단계의 캐릭터인 ‘오공’을 구입했다. 4일 뒤 A씨가 구입한 ‘오공’ 캐릭터는 56달러로 올랐다. 이 캐릭터를 다른 회원에게 판매해 12%의 수익도 올렸다.

캐릭터 투자로 재미를 본 A씨는 종류별로 캐릭터를 사 모았다. 캐릭터 등급과 보유 기간에 따라 수익률이 다르기 때문이다. 비싼 캐릭터는 1000달러(120만 원)나 됐다. 계정당 5개의 캐릭터를 보유할 수밖에 없어 스무 개 계정을 동시에 운영하기도 했다. 투자 금액은 어느덧 2500만 원이 넘었다. ‘대박’의 꿈은 올해 6월 몽키레전드의 캐릭터 거래가 정지되면서 산산조각이 났다.

인터넷과 모바일 공간에서 신종 금융 사기와 불법 대출이 확산하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로 돈이 궁한 청년이나 금융지식이 부족하고 세상 물정에 어두운 청소년을 노린 금융사기가 인터넷과 SNS 공간에서 독버섯처럼 퍼지고 있는 것이다.

● “원숭이, 쥐, 토끼 캐릭터 투자하세요” P2P 가장한 신종 사기


지난해 11월 등장한 몽키레전드 외에도 캐릭터 투자를 내세운 불법 금융투자 플랫폼이 늘고 있다. 6월 운영진이 잠적한 ‘드래곤스타’는 용 캐릭터를 거래하는 플랫폼이었다. 쥐, 토끼, 호랑이 등 캐릭터를 거래할 수 있게 한 ‘동물농장’도 캐릭터만 다를 뿐 몽키레전드처럼 캐릭터 거래를 내세운 유사 금융 플랫폼이다.

캐릭터 투자로 유혹하는 유사 금융 플랫폼들은 가상 캐릭터를 거래하는 개인과 개인을 이어주고 중개 수수료를 받는 ‘P2P(개인 간 거래) 회사’라고 선전한다. 하지만 금융당국은 ‘무늬만 P2P’인 전형적 ‘폰지 사기(신규 투자자의 돈으로 기존 투자자에게 배당금을 지급하는 방식의 다단계 금융사기)’로 보고 있다. 게임에 친숙한 세대를 유혹하기 위해 캐릭터를 내세워 포장만 새로 했을 뿐이지 고전적인 금융사기 수법에 지나지 않다는 게 금융당국의 판단이다.

‘혁신적인 재테크 플랫폼’이라는 소문과 달리 일부 유사 금융 플랫폼들은 갑자기 폐쇄됐다. 돈이 묶여버린 투자자들이 이들 플랫폼을 사기혐의로 고소하자, 경찰도 수사에 착수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유사 금융 플랫폼들이 태국 등 해외에 서버를 두고 수십만 명의 글로벌 사용자를 확보했다고 광고하며 달러로 거래하다가 갑자기 잠적하면서 피해가 늘고 있다”고 말했다.

● 급전 찾는 ‘1020세대’ 노리는 불법 사금융도 기승

아르바이트로 생계를 유지하는 황모 씨(25)는 최근 ‘3050’ 대출 때문에 애를 먹었다. 30만 원을 1주일 쓰고 50만 원을 갚는 고리 대출이었다. 1주일 뒤 돈을 마련하지 못한 그는 20만 원을 내고 대출을 1주일 연장했다. 이런 식으로 한 달 동안 대출 연장에만 120만 원이 들었다. 사채업자들은 돈을 갚지 못하는 황 씨를 들볶기 시작했다. 황 씨 뿐 아니라 그가 대출조건으로 전화번호를 알려준 가게 사장과 친구들 연락처로 빚 독촉 전화를 쉴 새 없이 걸어댔다.

급전이 아쉬운 20대 청년들은 황씨와 같은 ‘3050대출’이나 ‘작업 대출’ 등 불법대출에 빠져들고 있다. ‘작업대출’은 금융권 문턱을 넘지 못하는 청년들에게 접근해 재직증명서 등 대출 관련 서류를 허위로 만들어주고 거액을 떼어가는 식으로 진행된다. 금융회사에 위조서류를 제출하는 등 작업 대출에 연루되면 금융거래가 제한될 수 있고 최악의 경우 형사 처벌(징역 또는 벌금)을 받을 수도 있다.

불법사금융은 코로나19 위기에 따른 경기 침체와 대부업 시장 위축을 틈타 기승을 부리고 있다. 신용이 낮은 청년층의 상당수가 급전이 필요하면 제2금융권을 거쳐 결국 대부업체의 문을 두드리는데 2018년 최고금리 인하 등의 영향으로 대부업체 문턱이 높아졌다는 것이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대부업 대출 잔액은 15조9000억 원으로 6월 말(16조7000억 원)보다 8000억 원 가량 쪼그라들었다. 대부 이용자도 177만7000명으로 같은 기간 23만 명 줄었다. 이재선 한국대부금융협회 이사는 “업체들이 대출 취급을 대폭 줄였다”며 “소비자들이 불법사금융으로 밀려났을 것이란 합리적 추정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 10대까지 노리는 SNS 불법대출 그림자

3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발령된 금융사기 소비자경보만 13건이다. 지난해 한해 발령건수(4건)의 3배가 넘는다. 불법 사금융 피해 신고·제보도 올해 4~5월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60% 가량 늘었다. 2019년 하루 평균 20건이던 금융사기 제보는 올해 4월 35건, 5월 33건으로 증가했다. 금융당국은 젊은층이 자주 이용하는 소셜미디어 공간을 무대로 활동하는 신종 사기범들이 10대 청소년과 20대 청년들을 노리고 있다고 우려한다.

고등학생 A양(17)은 좋아하는 아이돌 그룹의 콘서트 티켓을 예매하기 위해 부모님 몰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알게 된 소액 사채업자에 연락했다. 사채업자는 3일 뒤 26만 원을 갚는 조건으로 20만 원을 빌려줬다. 법정이자율(연 24%, 월 2%)보다 크게 높은 하루 10%의 고리 사채였다. 부모님의 휴대전화 번호, 주민등록번호까지 요구하고 돈을 제때 갚지 못하면 ‘지각비’로 시간당 1만 원을 뜯었다. 돈을 갚지 못한 A 양은 사채업자들이 부모님에게 전화를 걸까봐 두려움에 떨다가 친구들에게 손을 빌렸다. A양이 5일간 사채업자에게 뜯긴 돈은 원금의 3.6배인 72만 원이었다. 청소년에게 접근해 소액을 단기로 빌려준 뒤 고액이자를 뜯어내는 이른바 ‘대리입금’ 피해를 당한 것이다. 금감원에 따르면 지난해 6월부터 올 5월까지 ‘대리입금’ 제보가 2100건 들어왔다. 일부 청소년들은 대리입금 업자들의 수법을 모방해 학교 친구들을 상대로 ‘이자놀이’를 하기도 한다. 금감원은 최근 교육부를 통해 일선 학교에 대리 입금 피해에 대한 주의를 당부하는 가정통신문을 발송했다.

금감원은 전담팀을 설치하고 불법 금융광고 차단에 나서는 한편 경찰, 법무부와 검찰, 지자체, 국세청과 연말까지 집중 단속을 벌일 예정이다. 청년들도 주의할 필요가 있다. 부득이 대부업을 이용한다면 반드시 등록 대부업체를 이용해야 한다. 강형구 금융소비자연맹 사무처장은 “코로나19로 자금상황이 악화된 사람들이 금융사기에 쉽게 넘어가고 있다”라며 “대출 문자나 대출 권유 전화는 사기가 아닌지 따져봐야 한다”고 말했다.

장윤정 기자 yunjng@donga.com
김동혁 기자 hack@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