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일본에 “6월 4일 전 인공위성 발사” 통보… 한미일 긴급 전화협의

  • 동아일보
  • 입력 2024년 5월 27일 08시 32분


코멘트
북한이 지난해 11월 “정찰위성 만리경-1호를 성공적으로 발사했다”며 공개한 사진. (사진=뉴시스)
북한이 지난해 11월 “정찰위성 만리경-1호를 성공적으로 발사했다”며 공개한 사진. (사진=뉴시스)


북한이 한중일 정상회의 직전 인공위성 발사 계획을 일본 정부에 통보했다. 2번째 군사정찰위성 발사 예고에 한반도 정세를 둘러싼 긴장이 더욱 고조될 것으로 보인다.

27일 일본 NHK방송 등에 따르면 일본 내각관방은 27일 오전 북한이 27일~6월 4일 사이 인공위성을 실은 로켓을 발사하겠다며 그에 따른 해상 위험구역 3곳을 설정하겠다는 계획을 통보해 왔다고 밝혔다.

앞서 일본 해상보안청도 이날 오전 북한의 선박 안전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당국이 해상보안청 해양정보부에 27일~6월 4일 사이에 인공위성을 발사할 것이라는 연락을 받았다고 전했다.

일본 측은 일본의 배타적 경제수역(EEZ) 밖에 있는 북한 남서쪽 서해, 필리핀 동쪽 태평양 상공 등에 인공위성 관련 물체 낙하를 예상하고 있다. 일본 해상보안청은 현지시간 이날 0시부터 내달 4일 0시까지 3개 해역에 항행경보를 내리며 낙하물에 주의할 것을 선박에 당부했다.

한중일 정상회의 참석차 서울에 머물고 있는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는 이날 오전 1시47분 자국 정부에 관계 부처간 협력으로 정보 수집에 만전을 기하고 국민에게 적절한 정보를 제공할 것을 지시했다.

북한은 앞서 지난해 11월에도 인공위성을 발사하겠다는 계획을 밝히면서 이번과 같은 해역을 해상 위험구역으로 설정한다고 밝힌 바 있다. 북한은 지난해 11월 군사정찰위성 1호기를 발사해 궤도에 위성을 올린 뒤 올해 추가로 3개를 발사하겠다고 공언한 상태다.

당시 발사한 정찰위성은 일본 오키나와 본섬과 미야코지마 사이 상공을 통과한 것으로 보인다. 일본 정부는 북한의 발사 당시 지방자치단체 등에 긴급 정보를 전달하는 전국순시경보시스템(J-ALERT)을 통해 주민 피난을 요청하는 경보를 내렸다.

이준일 한국 외교부 북핵외교기획단장과 정박 미 국무부 대북고위관리, 나마즈 히로유키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 국장은 이날 전화 협의를 하고 북한에 발사 계획 중단을 요구하기로 했다고 일본 외무성은 밝혔다.

3국 대표는 “북한의 탄도미사일 기술을 활용한 발사는 위성 발사를 목적으로 한 것이라도 북한의 탄도미사일 기술을 사용한 어떠한 발사도 금지하는 관련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의 명백한 위반”이라며 북한에 발사를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도쿄=이상훈 특파원 sanghun@donga.com
#북한#일본#한중일 정상회의#중국#한국#정찰위성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