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먼저 선거 전략이 달라졌다. 1년 전만 해도 집권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안정적인 과반 의석 확보”를 강조했고, 국민의힘 전신인 미래통합당은 “이대로 가면 개헌 저지선도 위태롭다”며 읍소 전략을 펼쳤다.
하지만 이번에는 민주당이 “다시 한번 기회를 달라”며 대국민 호소문을 발표했고, 국민의힘은 “무능과 위선을 끝내야 한다”며 정권 심판론을 들고 나왔다.
사전투표는 젊은층 투표율을 높일 수 있다는 측면에서 진보성향의 정당에 유리한 것으로 여겨졌지만 이번에는 20대와 30대의 표심이 다르다고 판단한 것이다.
실제 이번 재·보궐선거는 사전 투표율이 역대 재·보선 최고치인 20.54%로 나타났다. 특히 서울 지역 사전 투표는 21.95%로 집계됐다. 이와 관련해 민주당은 “지지층이 결집했다”고 해석했고, 국민의힘은 “국민 분노의 표출”이라고 풀이했다.

반면 지난해 총선 당시 미래통합당에선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등을 계기로 보수 성향을 밖으로 표출하지 않는 ‘샤이 보수’가 투표장에서 결집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지난해 민주당에 총선 압승을 안겨준 중도층도 이번에는 다른 모습으로 움직였다는 분석이다. 부동산 정책 실패 등에 대한 불만이 이번 재·보선을 앞두고 폭발했다는 평가다. LH 사태 등이 중도층의 움직임에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관측이 나온다.
여당의 공세도 치열했다. 민주당은 서울 내곡동 땅 특혜 보상 의혹 등과 관련해 TV토론회와 성명서 등을 통해 집중 부각시켰다. 하지만 여권발 부동산 관련 악재가 나오면서 ‘내로남불’ 비판에 갇혔다는 분석도 나왔다.
야권 단일화가 이뤄진 것도 달라진 풍경이다. 2018년 지방선거 당시 서울시장 후보 단일화가 이뤄지지 않았지만 이번에는 국민의힘 오세훈 후보와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가 단일화 협상을 성사시키며 야권 지지층 결집에 나섰다.
고성호 기자 sungho@donga.com기자페이지 바로가기>
[김순덕의 도발]미안하지만 文보유국과 비교되는 미얀마
오세훈 ‘박원순 장례식 책임자’ 문책인사에…시의회, 이례적 “유감”
[단독]檢, 공수처 ‘허위 보도자료’ 의혹 본격 수사
이성윤, 기소위기에 ‘수심위’ 카드…수원고검 “신속 소집 요청” 맞불
美 백신 확보 한시가 급한데 외교노선은 친중?
[단독]경제 5단체 “이재용 사면을” 내주 정부에 공동건의서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