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에 따르면 바이든 행정부 고위 관리는 이날 취재진에게 두 정상은 북핵 문제 대응에서의 협력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전하면서, 미국은 북한과의 외교에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이 관리는 “우리가 외교적 접근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 우리의 바람이다”며 “우리는 그들(북한)과 대화할 준비가 돼 있다. 전제조건은 없다. 우리는 또 코로나19 사태를 포함해 그들의 국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조치를 취할 준비가 돼 있음을 분명히 했다”고 말했다.
통신은 미 관리가 “상당히 심각한다”고 인정한 코로나19 사태가 대화 시작의 계기가 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이 관리는 “우리는 코로나19 사태에 대해 무척 우려하고 있다”며 “그들이 상당히 심각한 상황에 직면해 있다는 점에 신경을 많이 쓰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북한에 필요한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다른 국가들과 협력할 준비도 돼 있다고 덧붙였다.
통신은 미국은 북한에 대한 직접적인 백신 제공 가능성을 배제했지만, 윤석열 정부가 미국 측에 이를 요구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또한 역내에서 중국 견제는 바이든 대통령의 이번 순방에서 핵심 사항이지만 한국은 대중 무역 관계를 감안해 이 주제에 대한 공개적으로 신중한 어조를 보일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아울러 현대차그룹이 미국 조지아주에 전기차 전용 공장과 배터리셀 공장 신설을 위해 총 6조3000억원을 투자하기로 발표한 점을 언급하며 바이든 정부는 한국 기업들의 미국 투자 사실을 홍보하기 위해 이번 방문을 사용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