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열린 한국 대선후보들의 첫 TV토론회를 지지율 0.7%의 군소 정당 후보가 휘두른 것과는 달리 미국에서는 전 국민의 관심이 쏠린 대선후보 TV토론회에 당선될 가능성이 전혀 없는 후보는 끼어들 여지가 없다.
대선후보 TV토론을 주관하는 대통령토론위원회(CPD)가 주요 여론조사에서 15% 이상의 지지를 얻는 후보에게만 토론 참석 기회를 주는 관행을 유지하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소수의 목소리를 반영하지 못한다는 비판도 있지만 15% 이상의 지지를 얻어야 토론회에 참석할 수 있다는 기준은 마치 불문율처럼 굳어져 있다.
1987년 발족된 독립적 비영리기구인 위원회는 토론 횟수와 참가 자격 방식 주제 등을 모두 결정한다. 민주 공화 양당의 정치인과 전직 대통령이 포함된 이사진 10여 명, 자문위원 50여 명이 대통령토론위원회를 구성한다.
위원회가 군소 후보들의 반발에도 지지율 15% 기준을 고수하는 것은 유력 후보인 민주당, 공화당의 두 후보가 보다 밀도 있는 토론을 펼치도록 하기 위해서다. 군소 후보는 토론에 방해가 될 뿐 아니라 토론 진행에도 부담이 된다고 보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미국 대통령선거에서 TV토론은 철저히 민주당과 공화당 양당 후보 간 토론회로 이어져 왔다. 올해의 경우 대선일(11월 6일) 한 달여 전인 10월 3일부터 3차례 동안 버락 오바마 대통령과 밋 롬니 공화당 후보의 일대일 토론이 이뤄졌다.
1992년 대선에서는 의회에 의석이 하나도 없는 무소속 로스 페로 후보가 제3의 후보로 참석해 공화당 조지 부시 대통령, 빌 클린턴 민주당 후보와 토론을 벌일 수 있었던 것도 페로 후보가 주요 여론조사에서 지지율 15% 이상을 얻었기 때문이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