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人’ 절반이 대기업…장비·소재 종사자는 ¼ 수준

  • 뉴스1
  • 입력 2019년 7월 5일 06시 01분


코멘트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 © News1 DB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 © News1 DB
일본 정부의 반도체 소재 ‘수출 규제’ 조치로 국내 산업 경쟁력을 육성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가운데, 국내 반도체 산업의 ‘인력 편중’도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종사자의 절반 이상은 삼성전자, SK하이닉스 같은 대기업에 집중돼 있고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은 장비·소재 분야 종사자는 4분의 1 수준에 그친 것으로 조사됐다.

다른 산업군과 비교해 반도체 기업들에 석·박사급 고급 인재 비율이 높은 편이지만 이마저도 메모리 기반의 소자 분야에 쏠려 있어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전문 인력의 균형 잡힌 공급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 News1
© News1
5일 전자산업 인적자원개발위원회(ISC)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국내 반도체 기업 1124개사에 종사하는 인력 규모는 16만7794명으로 파악된다.

이 가운데 반도체 산업 분야별로 ‘소자’ 분야가 가장 많은 9만3578명으로 약 55.8%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자 분야의 대표적 기업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다.

이어서 장비 분야는 2만7584명으로 약 16.4%, 재료 분야는 1만6202명으로 약 9.7%를 차지했다. 장비와 재료를 합쳐도 4만3700여명에 불과해 소자 분야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이같은 흐름은 기업 규모별 조사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난다. 한국반도체산업협회에 따르면 2018년 기준 국내 반도체 대기업 종사자는 8만4751명으로 전체의 약 50.5%를 차지했다. 이어서 중견기업이 2만8670명(17.1%), 중소기업 5만4373명(32.4%) 등으로 집계됐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한국 반도체 산업이 소수 대기업 중심으로 생태계가 형성돼 있어 청년들의 희망 직장도 대기업에 편중되는 양상”이라며 “중소 장비 및 재료 기업들은 신규 인력 채용마저도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삼성전자가 지원하는 ‘반도체 정밀 배관 기술 아카데미’에서 교육생들이 실무 교육을 받고 있다. (삼성전자 제공)/뉴스1
삼성전자가 지원하는 ‘반도체 정밀 배관 기술 아카데미’에서 교육생들이 실무 교육을 받고 있다. (삼성전자 제공)/뉴스1
전문가들은 반도체 산업에 특화된 인력양성 프로그램이 부족하다는 점을 이유를 제시했다. 인적자원개발위원회 관계자는 “반도체 산업은 국내 경제에서 중요성이 매우 크지만 투자 대비 고용지표가 낮은 산업”이라며 “정부 주도의 인력양성사업에서 매우 제한적으로 수행되거나 인력양성 실적지표 달성이 어려워 다양한 인력양성 프로그램이 발굴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우리나라는 정권이 바뀔 때마다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등 핵심 산업별로 경쟁력 제고 및 경쟁력 강화 전략 등을 발표할 때 빠짐없이 ‘인력양성’ 계획을 담아왔다. 하지만 실제 업계에서 체감하는 인력수급 현황은 ‘원활하지 않다’는 반응이 대다수다.

인적자원개발위는 “이마저도 대기업 선호 현상으로 인해 팹리스나 장비·소재 등 중소 반도체 기업들은 자신들이 양성한 인력마저 대기업에 내주면서 심각한 인력부족 문제를 겪고 있다”고 평가했다.

업계에서는 반도체 분야 인력은 학문적 기초를 바탕으로 기술 전반에 걸친 핵심요소기술에 대한 지식과 실무능력을 위한 실습훈련 등이 체계적으로 병행돼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이미 정부도 반도체 공정 및 장비·소재 기술 분야에 인력양성 유치가 시급하다고 보고 있다. 지난 2월 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이 내놓은 ‘2018년도 한국 기술수준평가’에 따르면 반도체·디스플레이 등 ICT 분야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정책 최우선 순위로 전문가들은 ‘인력양성 및 유치’를 꼽았다.

특히 인력양성이 가장 필요한 기술군으로 ‘초고집적 반도체 공정 및 장비·소재 기술’을 언급한 KISTEP은 “첨단기술 분야에서 신속한 인력 수급을 위해 해외의 전문 인력 유치, 재교육 지원, 관련학과 신설 등이 필요하고 중장기적으로 인력양성 기획을 통한 실무형 인력양성의 체계적 개발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상대적으로 규모가 영세한 장비·재료 기업 특성을 감안해 정부가 해당 업체들에게 인건비 공제나 특별지원금 등의 혜택을 통해 처우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안기현 반도체산업협회 상무는 “2017년부터 4개 대학에서 운영하고 있는 장비·소재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전공트랙을 다른 곳까지 확대할 필요가 있다”면서 “정부와 산업계 공동으로 인력양성에 대한 투자 확대가 이뤄지면 더욱 양질의 인재를 육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반도체산업협회는 지난 2017년부터 명지대, 한국산업기술대, 인하대, 대림대 등 4곳과 손을 잡고 ‘반도체 장비 전공트랙과정’을 출범한 바 있다.

한편,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국내 반도체 산업의 전체 종사자 중에서 산업기술인력이 차지하는 비중은 반도체 부문이 62.4%로 국내 12대 산업 평균(43.8%)보다 높게 나타났다. 산업기술인력 부족률은 1.5%로 전체 평균 2.4%보다 낮았으며 디스플레이 0.6%, 조선 0.8%보단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