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F사태로 본 ‘이통사 대외협력팀’ 역할은

  • 입력 2006년 2월 21일 03시 09분


코멘트
이동통신회사 A사에 근무하는 K 부장은 일주일에 2, 3번은 회사가 아닌 서울 종로구 세종로의 정보통신부 청사로 출근한다.

대외협력 담당부서 팀장인 그는 “통신업 특성상 정부 규제가 많아 공무원들에게 회사 방침을 설명해야 하는 때가 많다”면서 “정통부도 공식 대화창구인 ‘카운터파트’를 통해 이동통신사에 정부 정책을 전달하는 게 관례”라고 말했다.

B사 C 부장의 ‘출입처’는 공정거래위원회와 정통부 산하 통신위원회. 공정위나 통신위 조사 과정에서 회사 입장을 대변하는 게 그의 주요 업무다.

최근 불거진 KTF의 공무원 로비 논란을 계기로 이동통신회사의 대외협력 부서가 주목을 받고 있다. 통신정책은 인허가 등 규제가 많기 때문에 이동통신회사의 대외협력 부서 직원은 3개사를 합쳐 100명을 웃돈다.

○ 정부 국회 시민단체까지 담당

이동통신업계 선두주자인 SK텔레콤은 전략기획 부문의 ‘CR(Corporate Relations)전략실’ 산하 5개 팀이 대외협력 업무를 담당한다. 임원 4명을 포함해 62명으로 3개 이동통신회사 중 가장 많다.

정책개발팀(19명)과 기술협력팀(11명)은 각각 정통부의 통신정책 및 기술부문과 관련된 제도 수립 과정에서 회사 창구 역할을 한다.

공정위와 통신위를 맡는 경쟁제도팀, 국회와 각종 협회를 맡는 CR지원팀에는 각각 9명이 배치돼 있다. 사업자 간 접촉 업무를 맡는 사업협력팀에도 10명이 일하고 있다.

이와 별도로 중장기 정보통신정책을 연구하는 정보통신연구실에는 별도로 21명이 있다.

KTF 대외협력 부문은 대외전략실과 사업협력실 등 2개 실로 나뉘어 있으며 산하에 대외전략팀 정책협력팀 등 6개 팀을 거느리고 있다.

전체 임직원은 40명. 정통부 공정위 통신위 국회 등을 주로 담당한다.

LG텔레콤은 정책협력실 산하 정책개발팀과 대외협력팀 2개 팀에서 17명이 일한다. 3위 업체여서 대외협력 부문도 상대적으로 취약한 편이다.

○ 회사이익 대변기구 논란도

이동통신사의 대외협력 부문은 다른 어떤 업종보다 인원이 많고 담당 업무도 세분화돼 있다.

이처럼 대외협력 부문에 신경을 쓰는 것은 통신 업종의 특성상 정통부 통신위 공정위 등 규제 기관이 많은 상황과 무관하지 않다. 정부의 인허가 정책 방향에 따라 회사 사활이 걸리기 때문이다.

최근 국회에서 논란이 된 휴대전화 보조금 정책 결정 과정에서는 이동통신 3사가 각각 여야 의원뿐 아니라 의원 보좌관에게도 자사의 논리를 설득하기 위해 총력전을 펼친 것으로 알려져 있다.

3사 모두 대외협력 업무를 맡은 직원들은 평소 식사나 주말골프 모임 등을 통해 이들 관료와의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한다고 업계 관계자들은 말한다.

규제의 칼을 쥐고 있는 정통부나 공정위를 담당하는 직원은 이런 관계 유지에 필사적이다.

대외 업무를 맡고 있는 C사의 한 임원은 “주파수 문제, 휴대전화 보조금, 통신요금 정책 등 정부가 결정하는 업무가 워낙 많기 때문에 기업으로서는 대외협력 부문에 소홀할 수 없다”며 “업체 간 경쟁이 치열하다 보니 때로는 과도한 접대로 이어지는 경우도 없지 않다”고 말했다.

최영해 기자 yhchoi65@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