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연극 ‘어디서 무엇이 되어 만나랴’

  • 입력 2009년 7월 13일 02시 59분


온달설화의 비극적 재해석
언제 만나도 새로운 ‘생명력’

“당신은 누굽니까? 그토록 오랜 세월, 이 몸의 하늘이었으면서도 지금 그렇지 않다고 하시는 당신은 누굽니까?”

서울 명동예술극장 개관공연 시리즈 첫 편으로 10일 개막한 연극 ‘어디서 무엇이 되어 만나랴’. 평강공주(서주희)가 죽은 온달(김수현)에게 던지는 이 질문은 작품을 관류하는 키워드다. 신분질서가 뚜렷한 고대사회에서 바보 온달과 울보 평강의 사랑은 어떻게 가능했을까. 설화 뒤에 감춰진 진실은 무엇일까.

연극은 이에 답하기 위해 온달설화의 살집은 발라내고 뼈대에만 집중한다. 그 첫 번째는 공주인 평강과 평민인 온달의 만남이 어떻게 가능했는가이다. 희곡을 쓴 작가 최인훈 씨는 평강을 고집 센 울보로 설정한 것에 주목했다. 부왕의 말에 저항하는 울보란 곧 그녀가 당대 권력의 반항아였음을 상징한다. 그런 그가 온달과 결혼할 수 있었던 것은 궁중 암투의 희생자로 밑바닥으로 떨어졌기에 가능하지 않았을까.

첫 번째 답을 구하자마자 연극은 10년 뒤로 훌쩍 뛴다. 신라군과의 전투에서 전사한 온달의 관이 움직이지 않았다는 설화에 주목하고 그 뒤에 숨겨진 진실로 육박한다. 혼령이 된 온달과 살아남은 평강의 독백을 통해 관객은 온달 죽음의 뒤에도 피비린내나는 궁중 암투가 작용했을 것이란 섬뜩한 진실을 만난다. 연극은 거기서 고삐를 늦추지 않고 온달을 잃은 뒤 평강 역시 비참한 최후를 맞는다는 비극적 세계관을 드러낸다.

프랑스의 인류학자인 르네 지라르는 “모든 신화는 집단폭력의 기억을 감추고 있다”고 갈파했다. 최 씨 역시 온달설화의 이면에 감춰진 핏빛 진실을 간파한다. 그러나 그는 진실의 폭로에만 머물지 않고 재 신화화를 통해 현실의 은폐가 아니라 현실의 치유로서 신화의 힘을 새롭게 제시한다.

서막에 나오는 온달의 꿈(까치의 보은설화)과 마지막 장면의 눈발 속에서 온달을 하염없이 기다리는 온달 어머니(박정자)는 그런 신화의 치유력을 보여준다. 저승과 이승의 삶이 연결됐다는 한국 전통의 샤머니즘과 불교적 연기(緣起) 설화가 결합한 이 장면을 통해 관객은 예술로 승화한 온달설화를 새롭게 만난다.

연출가 한태숙 씨는 초시간적인 이 작품에 동시대성의 옷을 입혔다. 그는 대사는 거의 바꾸지 않은 채 단순하면서도 세련된 무대연출과 풍성한 지문의 해석을 통해 현대적 생명력을 불어넣었다. 한옥 구조를 대신한 검은색 대리석 분위기의 무대연출, 피아노와 드럼의 불협화음을 활용한 현대적 배경음악 등이 관객의 허를 찌른다. 함축적 대사와 농밀한 연기를 펼친 박정자 씨의 연기 못지않게 반항기 가득한 십대 소녀부터 온달을 유혹하는 육감적 여인과 냉철한 정략가로서 평강공주의 다양한 내면을 육화해낸 서주희 씨의 연기도 빼놓을 수 없다. 26일까지 서울 중구 명동 명동예술극장. 1644-2003

권재현 기자 confetti@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