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년前 숭례문 화재에도 방재체계 불충분… 목조유산 소방대-문화재 패트롤 운영 필요”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2월 10일 03시 00분


2008년 2월 10일 ‘숭례문 화재’ 이후
“日-中과 달리 전문인력-시스템 미흡
민간과 협업 경비시스템 강화해야”

2008년 2월 10일 서울 중구 숭례문 화재. 동아일보DB
국보 숭례문이 화마에 무너진 지 17년이 흘렀지만 여전히 목조 국가유산의 화재 방지를 위해 보완할 점이 적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2008년 2월 10일 방화로 문루 2층의 90%가 소실됐던 숭례문은 복원 이후 대대적인 방재 시스템이 마련됐다. 스프링클러와 불꽃 감지기가 보강됐고 폐쇄회로(CC)TV와 광센서형 감지기도 설치돼 침입자 발생 시 즉시 안전요원이 출동하게 돼 있다. 이 사건을 계기로 다른 목조 유산도 방재 설비가 일부 보완됐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방재 전문 인력과 체계가 여전히 충분치 않은 실정이라고 입을 모았다. 백민호 강원대 소방방재학부 교수(국가유산방재학회장)는 “목조 건축물은 개구부가 많아 화염이 빠르게 번지기에 특화된 화재 진압이 필요하지만 유사 시 관할 소방서가 담당하는 게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함은구 을지대 보건환경안전학과 교수도 “관리 주체가 지방자치단체로 분산되면서 방재의 전문성이 떨어지는 측면이 있다”며 “깊은 산속 사찰은 겨울엔 소방 용수가 마땅치 않은데도 상당수가 관리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고 했다.

반면 우리와 비슷하게 전통 목재 건축 유산이 적지 않은 일본은 비교적 체계적인 방재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일본은 국립문화재기구 산하에 문화재방재센터를 두고 현장 대응 가이드라인을 연구·설계하는 한편으로 최신 방재 기술을 전국에 공유하고 있다. 이원수 국립순천대 건축학부 교수는 “일본엔 소방국에 문화재 방재 부서가 따로 있고, 중국도 주요 목조 유산마다 화재진압 전문 소방대가 상주해 즉각적인 초동 대처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전통 목구조물의 화재 특성에 대한 심층적 조사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백 교수는 “전통 목조 건축물은 기와, 서까래, 적심(기와와 서까래 사이) 등 구조가 복잡한 데다 오랜 시간 건조되면서 발열, 연기량 등에서 일반 목재와 차이를 보이므로 전문적 연구가 요구된다”고 했다.

민간과 협업해 경비 시스템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이 교수는 “일본은 건축설계사 등 고건축 지식을 가진 일반인을 문화유산 감시원으로 임명하고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소정의 활동비를 지원하는 ‘문화재 패트롤’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고 조언했다. 김봉렬 한국예술종합학교 건축과 명예교수는 “문화유산 보호엔 시민의 협업이 필수라는 공감대가 우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숭례문#화재#방재체계#패트롤#문화재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