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변이 얕봤나… “추적 감시 연구 소홀”

  • 동아일보
  • 입력 2021년 7월 16일 03시 00분


코멘트

美 유전체 분석 전문가 지적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전 세계적으로 다시 확산하고 있는 가운데 주요 재확산 원인인 변이 추적과 감시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데이나 크로퍼드 미국 케이스웨스턴리저브대 의대 유전체과학과 교수는 “백신 접종과 국가별 방역수칙이라는 변수가 더 많은 변이를 등장하게 하고 있다”며 “변이에 대한 분석 부족으로 글로벌 코로나19 대응이 위기에 빠지고 있다”는 내용의 서한을 14일(현지 시간) 국제학술지 ‘플로스 제네틱스’에 공개했다. 크로퍼드 교수는 미 국립보건원(NIH) 유전학 분야 수석연구원을 지냈고 현재 미국 인류유전학회 이사를 맡고 있는 유전체 분석 전문가다.

통계사이트 월드오미터에 따르면 14일 세계 하루 확진자는 55만4510명이다. 4월 29일 90만3036명으로 정점을 기록한 뒤 지난달 말까지 감소해 한때 20만 명대까지 내려갔다가 이달 들어 다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감소세로 접어들었다가 잠잠해질 만하면 새로운 변이가 등장해 확산세가 커지는 패턴이 반복되고 있다. 지난해 10월 영국에서 유행한 알파 변이, 국내에 급속도로 퍼지고 있는 인도 유래 델타 변이에 이어 최근에는 남미에서 유행 중인 람다 변이까지 변이가 글로벌 확산을 주도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 변이는 유전체 전장 분석을 통해 발견한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 전파력이나 치명률이 높은, 혹은 백신을 무력화하는 위협적인 변이가 인간의 감시를 피해 숨어 있을 수도 있다는 의미다. 코로나19 바이러스와 같은 RNA 바이러스는 복제할 때마다 돌연변이를 일으킨다. DNA 바이러스와 달리 복제 과정에서 생긴 오류를 수정하는 기전이 없다. 필연적으로 복제 때 변이가 일어나는 것이다. 과학자들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경우 30킬로베이스(kb)로 염기 3만 개가 연결돼 있어 한 번 복제할 때마다 평균 3번꼴로 돌연변이를 일으키는 것으로 분석한다.

지금 이 시간에도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유전체에서는 원인을 알 수 없는 변이가 일어나고 있다. 하지만 14일 기준으로 전 세계에 누적 확진자가 1억8876만 명을 넘었는데도 감염병 바이러스 게놈 데이터 공유 프로젝트인 ‘국제인플루엔자데이터공유이니셔티브(GISAID)’에 보고된 유전체 전장 분석 건수는 225만3612건에 머물고 있다. 전체 확진자 가운데 약 1%에 대해서만 분석이 이뤄진 것이다.

과학자들은 변이로 인한 인류의 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시급히 분석 건수를 늘려야 한다고 강조한다. 크로퍼드 교수도 이번 서신에서 “코로나19를 포함해 현재 글로벌 감염병 대응 방식은 확진자 숫자와 입원율, 치명률을 따지는 데만 초점을 맞춰 왔다”며 “이제는 대응 방식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크로퍼드 교수는 변이 분석을 통해 전파력과 질병 중증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내 팬데믹의 새로운 국면을 예고하고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코로나19가 새로운 전염병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변이 발생의 방향과 진화 과정을 실시간으로 이해하는 게 팬데믹 대응에 필수적이라는 지적이다.

매일 끊임없이 진화하는 변이를 추적할 기반 기술은 이미 충분히 마련돼 있다. 인간 유전체의 염기서열은 30억 쌍인데 현재 기술로 이를 모두 분석하는 데 하루 정도 걸린다. 동시에 최대 50만 명까지도 함께 분석이 가능하다. 이에 비해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염기는 3만 개에 머문다. 하지만 GISAID에 보고된 변이분석 건수를 보면 세계에서 가장 많은 확진자가 발생한 미국의 경우 확진자 대비 변이 분석 비율이 1.87%에 불과하다. 기술은 충분한데도 변이 분석을 등한시해 왔다는 지적이 가능하다. 크로퍼드 교수는 부족한 자금 지원과 변이 샘플 수집 문제, 데이터 공유를 둘러싼 경직된 규정 등을 이유로 들었다.

정용석 경희대 생물학과 교수는 “분석률을 높이는 것은 변이 특성을 파악해 그에 맞는 방역정책을 펼치는 것과 직결된다”고 말했다. 정부도 “지난달 국내 바이러스 게놈 분석률이 18.3%로 세계보건기구(WHO)가 권고하는 5∼10% 수준을 상회한다”며 “앞으로 20% 정도의 분석률을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고재원 동아사이언스 기자 jawon1212@donga.com
#코로나19#변이 추적 감시 소홀#분석 건수 확대#팬데믹 대비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