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약성경은 하나님이 히브리인들에게 약속한 축복의 땅 가나안을 이렇게 묘사하고 있다. 유목민이던 히브리인들의 입장에서 젖이 풍부하다는 건 많은 가축을 거느리는 걸 뜻한다. 꿀이 풍부하게 생산되는 곳은 곡식과 화초가 만발해 벌이 꼬이는 땅이다. 다시 말해 고대 히브리인들에게 젖과 꿀은 모든 게 갖춰진 풍요의 상징이었던 셈이다.
이 책은 인류사와 생태계에서 벌이 가졌던 의미를 다각도로 조명하고 있다. 역사적으로 곤충은 인류에게 줄곧 재앙이나 혐오의 대상이었다. 약속의 땅으로 가려는 히브리 노예를 가로막은 이집트 파라오에게 하나님이 내린 무서운 형벌 중 하나는 메뚜기 떼의 습격이었다. 영화 ‘에이리언’(1979년)에서 흉칙한 외계 생명체의 모티브는 곤충이었다. 하지만 벌만큼은 곤충인데도 인류에게 늘 환영을 받았다. 달콤한 벌꿀은 그 자체로 훌륭한 식품이었을 뿐 아니라 술과 그릇 등 다양한 용도로 유용하게 쓰였기 때문이다. 예컨대 고대 중국인들은 쌀과 산사나무 열매를 곁들인 벌꿀 술을 즐겼고, 켈트족은 헤이즐너트를 가미한 벌꿀 술을 들이켰다. 유럽과 중동, 북아프리카의 신석기 유적에선 밀랍을 섞은 질그릇이 발견되기도 했다.
김상운 기자 sukim@donga.com기자페이지 바로가기>
[김순덕의 도발]미안하지만 文보유국과 비교되는 미얀마
“이재용, 정부에 화이자 회장 연결해줘 협상 실마리”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는 공감의 힘[벗드갈의 한국 블로그]
오세훈 ‘박원순 장례식 책임자’ 문책인사에…시의회, 이례적 “유감”
오죽하면 1249쪽을 통째로 넘겼을까[오늘과 내일/김승련]
[단독]檢, 공수처 ‘허위 보도자료’ 의혹 본격 수사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