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위는 이날 발표 내용을 ‘방송시장 활성화 정책’이라 했지만 실상은 지상파를 위한 지원책에 가깝다. 지상파는 희소한 공공자원인 전파를 사용하는 대신 공익성이 강한 방송을 해야 할 의무를 지닌다. 종합편성채널이나 유료채널보다 광고방송을 적게 하고 특히 상업성이 짙은 중간광고를 못하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그런데 앞으로는 전파를 사용하는 특권은 그대로 누리면서 광고도 다른 유료 방송사와 똑같이 할 수 있게 된다. 지상파로의 광고 쏠림에 따른 군소 매체들의 경영난은 방치하겠다는 선언인 셈이다.
지상파는 이미 2016년부터 프로그램을 2, 3부로 쪼개어 프리미엄광고(PCM)를 넣는 꼼수로 중간광고 이상의 수익을 벌어들이고 있다. MBC와 SBS는 메인 뉴스 중간에도 PCM을 넣어 보도의 독립성 침해 우려마저 낳고 있다. 방통위의 이날 결정은 편법 중간광고를 막아달라는 시청자단체들의 요구를 완전히 외면한 조치다.
방통위가 시청자와 중소 방송사들의 이익을 희생해 공룡 지상파를 챙긴다는 비판을 받지 않으려면 지상파 중간광고 허용과 KBS 수신료 인상정책을 백지화해야 한다.
나경원, 진중권 만났다…“공격받을 때 편 들어줘 고맙다”
김어준은 어쩌다 ‘구라쟁이’가 됐나
여당發 망언에 ‘화병 확진자’ 증가세
조국 딸 국시 합격설에 의사단체회장 “무자격자가 의사, 내면허 찢고 싶다”
- [사설]감사원장은 정권의 忠犬 노릇 하라는 식의 임종석 발언
하태경 “윤건영, 김여정 감싸기 엽기적 상상력에 헛웃음”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