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오후 서울 강남구 논현동 건설회관 강당에서 열린 ‘2008년 하반기 건설·부동산 경기전망 세미나’ 현장.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김현아 연구위원이 하반기 정부 규제완화 가능성에 대해 부정적으로 전망하자 참석자들의 표정은 어두워졌다.
서울 강남권에 산다는 한 주부는 “새 정부가 1가구 1주택자는 종합부동산세를 낮춰준다고 해서 아파트를 여태 팔지 않았다”며 “그 말만 믿고 있다가 다시 세금만 왕창 내게 생겼다”며 한숨을 쉬었다.
새 정부가 들어선지 100일이 가까워오지만 부동산 시장이 정상화 될만한 규제 완화 정책은 거의 나오지 않고 있다.
규제완화의 핵심인 부동산세제와 재건축 규제 완화는 말도 못 꺼낼 형편이다. 심지어 대다수의 국민에게 영향을 끼치는 취·등록세 1% 감세 역시 지방자치단체의 세수를 보완해 줄 방법이 마땅치 않아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태다.
같은 날 건국대학교에서 열린 ‘부동산정책의 전망과 과제 세미나’에서도 국토해양부 이재영 주택도시실장은 “공급 및 거래관련 규제를 시장친화적인 방향으로 개선하겠다”는 원론적인 말만을 되풀이 했다. 핵심규제 완화에 대한 방법과 시기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다.
김 연구위원의 분석처럼 새 정부가 부동산 규제 완화에 선뜻 나서지 못하는 것은 정치적인 이유가 크다. 민심을 잃은 정부가 부동산 세제 완화를 언급하면 곧바로 ‘강부자’, ‘고소영’정부라고 공격받을 소지가 다분하기 때문이다.
가까운 시일 내에 집을 사거나 팔 계획이 있는 사람들이라면 정부의 고민을 읽어야 할 시점이다.
정세진 기자 mint4a@donga.com
구독
구독
구독 1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