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젤협약은 유해 폐기물의 국가 간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1992년 발효된 국제협약으로, 한국을 포함한 188개국이 가입했다. 협약에 따르면 수출입 통제 대상 폐기물은 수입국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이에 따라 내년부터 여러 재질이 섞인 폐플라스틱 수출은 사전 허가가 필요하다. 다만 단일 재질로 구성된 폐플라스틱은 기존처럼 신고만 해도 된다.
플라스틱 재활용률이 떨어지는 우리나라는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서로 다른 재질이 섞인 플라스틱은 재활용이 거의 되지 않고 쓰레기로 처리된다. 재생원료로 활용하는 것보다 다른 재질들을 분리하는 데 드는 비용이 더 크기 때문이다.
재활용 업계에서는 혼합 폐플라스틱의 발생 자체를 줄여야 한다고 말한다. 수도권의 한 재활용 업체 대표는 “단일 재질로 된 제품 비중을 늘리고 국내 플라스틱 재생원료 활로를 확대해야 폐플라스틱이 적체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고 말했다.
강은지 기자 kej09@donga.com기자페이지 바로가기>
敵 전투기 ‘패닉’ 일으키는 ‘전자전기’ 도입 좌초 위기
“무력 통일 천명 北, ‘나토식 핵 공유’로 대응해야”
안철수 “천안함 용사들 죽음 홀대하는 나라가 나라냐”
80, 90대 독자의견 가득찬 일본 신문 투고란 [서영아의 100세 카페]
조국 “윤석열, 수사·기소 분리 찬성”…尹측 “수사폐지 찬성한적 없어” 반박
내가 칠칠맞다고? 웃어야 할까, 화내야 할까[손진호의 지금 우리말글]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