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실장은 11일 취임 첫 기자간담회에서 문 대통령의 ‘사회-경제 통합 운영’ 지시를 전하며 “경제 쪽은 부총리에게 힘을 확실히 실어주라는 의미다. 더는 ‘투 톱’ 같은 말이 안 나오게 하겠다”고 했다. 하지만 사회관계장관회의 활성화 구상이 포용국가 정책기조의 세 축(소득주도성장, 혁신성장, 공정경제) 가운데 홍남기 경제부총리 후보자에겐 규제개혁을 통한 혁신성장에만 주력하도록 하고, 사회정책과 맞물린 소득주도성장과 공정경제는 김 실장이 주도하도록 맡기겠다는 것은 아닌지 의문이다. 그것이 유은혜 사회부총리의 역할을 강화하는 쪽이 아니라 사실상 김 실장이 사회정책까지 주도하게 하는 것이라는 얘기가 벌써부터 나온다.
김 실장은 사회수석비서관 시절부터 부동산, 탈원전 등 논란 많은 정책을 진두지휘하며 ‘왕(王) 수석’으로 불렸다. 김 실장이 사회정책까지 아우르게 되면 그의 영향력은 전임 장하성 실장보다 크면 컸지 결코 작지 않을 것이다. 장 전 실장은 김동연 경제부총리와 잦은 불협화음을 빚어 ‘누가 경제사령탑이냐’는 논란을 불렀다. 김 실장의 커지는 역할이 장 전 실장을 뛰어넘을 것이라고 걱정하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