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와 파키스탄의 영토 분쟁지인 인도 북서부 카슈미르에서 22일 발생한 총기 테러로 양국 갈등이 격화하고 있다.
인도는 23일 테러 배후로 파키스탄 정부를 지목하고 국경 폐쇄, 물 공유 중단, 자국 내 파키스탄인에 대한 출국 조치 등의 강경책을 발표했다. 그러자 파키스탄 또한 같은 날 인도와의 교역을 중단하고 자국 내 인도인에게 출국을 명령했다. 두 나라 모두 ‘비공인 핵무기 보유국(nuclear power)’이어서 이번 사태가 국제 정세의 불안을 고조시킬 것이라고 프랑스24 등이 진단했다.
뉴욕타임스(NYT), 알자지라 등에 따르면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이날 내각 회의를 열고 북부 펀자브주에 있는 양국 국경 검문소를 폐쇄하고 인도 내 파키스탄인에게 “48시간 내 출국하라”고 명령했다. 주인도 파키스탄대사관의 국방 업무 담당자들 또한 외교 기피 인물(페르소나 논 그라타)로 지정해 1주일 이내 출국하도록 했다.
인도는 1960년 양국이 세계은행 중재로 체결한 ‘인더스강 물 이용 조약’의 효력 또한 정지시켰다. 이 조약은 양국을 가로지르는 인더스강 지류의 물 사용 권리를 인도가 파키스탄 측에도 나눠 준다는 것이 핵심이다. 그간 양국이 수차례 산발적 교전을 벌였을 때도 이 조약이 지켜졌지만 힌두 극우주의 성격이 강한 모디 정권이 이번에 조약의 효력을 정지시켰다.
파키스탄 또한 자국 내 인도인에게 “48시간 내 출국하라”고 명령했다. 자국 내 인도 국방 담당자들 또한 역시 외교 기피 인물로 지정했다. 파키스탄은 테러 연관성을 부인했으며 “인도의 조치가 극도로 무책임하고 정치적 동기에 의해 비롯됐다”고 규탄했다.
앞서 22일 인도령 카슈미르의 대표 관광지인 파할감 인근 바이사란 초원에서 무장 괴한들이 총기를 난사해 최소 26명이 숨지고 17명이 다쳤다. 사망자는 인도 국내 관광객 25명, 네팔인 1명이다. 한 생존자는 현지 언론에 “괴한들이 꾸란(이슬람 경전) 구절을 외우지 못하면 닥치는 대로 총을 쐈다”고 밝혔다. 테러 직후 파키스탄 테러단체 ‘라슈카르 에 타이바(LeT)’와 연관된 현지 반군 ‘저항전선(TRF)’이 자신들의 소행이라고 주장했다.
면적이 약 22만 ㎢ 인 카슈미르는 두 나라가 1947년 영국의 식민 지배에서 각각 독립했을 때부터 첨예한 갈등의 온상이었다. 대부분의 주민은 무슬림이나 지배 계층은 힌두교가 많고 이에 따라 두 나라 모두 영유권을 주장했다. 인도령 잠무 카슈미르, 파키스탄령 아자드 카슈미르, 중국이 실효 지배 중인 악사이친 고원 등 세 곳으로 나뉘어 있고 모든 곳에서 대립과 갈등이 끊이지 않는다.
평화적으로 '거래하지 말라'는 뜻였는데 '러시아', '이란'처럼 혁명군 투입해 점령하고 깃발 꽂고 공화국 선포하고, 땅 넓히고, 너무 유치하고 너저분 하죠. 명복을 빕니다.
2025-04-24 23:20:35
'압둘라' 국왕 중재로 압바스, 이스라엘이 평화 조약을 맺었지만 원주민 30 %, 이집트인 30 %, 요르단, 시리아계, 레바논계 각 10 %, 그리스 7%, 이란 3 %처럼 역사를 감안한 이상적 인구 구조와 지정학적 역학 구도 설정은 헤즈볼라와 하마스의 각 30 %로 변형돼 전쟁으로 이어졌듯 카슈미르는 원래 인도땅, 인도인들이 대부분였는데 국경선이 그어져 무슬림들이 넘어오자 간디는 평화적으로 '파키스탄인들과 거래 하지 말라' 규제를 충고해 줬지만 인도인들이 그들에 땅을 팔았고 그런 인구 구조가 된 것인데, 땅 때문에 그럼 안되죠.
댓글 5
추천 많은 댓글
2025-04-24 20:30:54
이스라엘이 극렬 테러집단 하마스 씨를 말리듯 아주 씨를 말려야 ...
2025-04-24 20:31:38
하여간 무슬림 이 새ㄱ끼들은 ... ㅉㅉ
2025-04-24 23:46:32
무슬림이 또 문제를 만들었구나. 언젠가는 한번 치고 박고 싸움이 일어나야 할 지역이야.